DOI QR코드

DOI QR Code

중증언어장애자 의사소통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Aid System for the Person of a Serious Speech Impaired

  • 박정화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유비쿼터스IT학과) ;
  • 박수현 (동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
  • 발행 : 2010.01.30

초록

언어 및 신체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컴퓨터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시스템은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그러나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단순한 입력만으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의사소통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장애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빈출문장들을 수집하여 9개 생활언어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시하므로, 몇 번의 선택 동작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장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원하는 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천지인 자판을 제공하므로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문장을 빈출문장 그룹에 포함시켜서 다음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 속한 문장들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순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가능한 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It takes a lot of time or is even impossible to communicate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or speech impairmen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an important computerized tool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ose people to communicate. Since not only speech impaired people, but also people with other physical disability cannot use conventional computer input devices easily such as keyboard and mouse, so more simple input devices are need for them to communicate. Thus, in this paper, I designed and implemented a communication aid system, with which they can communicate with simple inputs. I collected frequently used sentences by people with disability and categorized them into 9 everyday language groups. With these categories, they can select any sentence with few simple selections. If none of these categories includes the sentences they want, ChunJiIn keyboard is provided so that they can input the sentences, which can be added to the existing language groups for later use. The priority levels of the sentences in each group is constantly readjusted based on usage frequency so that the number of inputs can be re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홍승욱, 박수현, "중증 언어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p324-327, 2006.5
  2. Augmentative Communication, http://www.alsa.org/patient/technology.cfm,2009.10
  3. 정해동, 김주영, 박은혜, 박숙자,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 . 대체의사소통 지도", 국립 특수교육원, p236, 1999.1
  4. 권명옥, "비구어 의사소통 체계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재활과학연구 제43권, 제1호, p.121-136, 2004.6
  5. Bruce Baker, Minspeak is a simple and effective way to code vocabulary, http://minspeak.com/what.php, 2009
  6. 정지홍, 김광선, 박진홍, "지체 장애인용 컴퓨터 보완 대체 의사 소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 동대논총 제26권, 제1호, p549-560, 1996.3
  7. John L. Arnott, AIan F. Newell, Norman AIm," Prediction and conversational momentum in an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s of the ACM archive, Vol. 35, Issue 5, p46-57, 1992 https://doi.org/10.1145/129875.129878
  8. Rupal Patel, Sam Pilato, Deb Roy, "Beyond Linear Syntax: An Image-Oriented Communication Aid". Journal of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and Benefits, Vol.1, Num. 1, p57-66, 2004.
  9. http://www.at4u.or.kr/
  10. Vinay Singh, 임효택, 박수현, "장애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15, 2006.5
  11. 민홍기, "언어장애인을 위한 언어생활지원 시스템 개발", 보건복지부, p291, 2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