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Occupational Readiness among the Home-health-care Workers Licensing Program Participants: An Applica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RVQUAL) Model

가족지지 자원인 요양보호사 양성과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와 직무수행준비에 관한 연구: SERVQUAL 모델의 적용

  • 어성연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백선아 (중앙대학교 가족복지) ;
  • 김양희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0.07.01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me-health-care workers licensing education course in Seoul, Korea.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 conceptual model was suggested explaining the dynamics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RVQUAL),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occupational readiness. The data set for this study drawn from the 297 self-administered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uggested conceptual model by utilizing AMOS program. The measurement models and conceptual model fit well with the collected data set. As results of this study, 5 domains of SERVQUAL were produced including accountability, trustiness, responsiveness, sympathy, and assurance.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ing with latent variables confirmed that SERVQUAL were influenced perceived educa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occupational readiness. Among the SERVQUAL domains, accountability, trustiness,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hile accountability, trustiness and responsiven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The trustines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via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Henc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the significant impacts on the occupational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to intense the educational program or curricular focusing on the SERVQUAL elements. Those changes will enhance self-confidence among the prospective home-health-care workers as well as public trustiness on the national long-term care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고보선, 허준수(2005). 노인의 학대 대처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1), 1-19.
  2. 권순만, 박건희(2006). 노인장기요양 재원조달체계: 제도의 유형과 정책과제. 한국노년학 15, 9-36.
  3.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 학현사.
  4. 김수진(2007). 요양보호사 교육 참여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및 소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인, 신학진(2009).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2), 579-591.
  6. 김정포(2008). 정부조달을 활용한 중소기업지원정책 품질에 관한 수혜자 만족도 분석 ‒서브퀄요인을 중심으로. 경영사학 46, 189-223.
  7. 김준환(2008).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 및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극동사회복지저널 4, 49-83.
  8. 김한규(2008). 요양관리자(케어매니저) 양성 방안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연 (2009). Policy Brief: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 시행 1년 평가와 경기도의 역할. 수원 : 경기개발연구원.
  10. 류인애(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요양보호사 인력수급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수희, 박수정(2008).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시 보완 필요성에 관한 연구.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2), 79-89.
  12. 박영준, 송인욱(2008). 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갈등, 부양부담 및 사회적 지지간의 인과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53-78.
  13. 박종오, 황용철(2007). 서비스상황요인이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8(1), 79-110.
  14. 보건복지가족부(2009a).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부양부담 경감 효과. 보건복지가족부 보도자료(2009.7.3).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5. 보건복지가족부(2009b). 제282회 임시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추가경정예산안 제출자료. 신성범의원 (2009.4.12).
  16. 송균석, 남윤형, 권혁찬(2007). 중소기업지원정책 품질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분석 ‒서브퀄 요인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29(2), 271-293.
  17. 송승훈(2009).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서의 요양 보호사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재익, 정기한(2007). 교육기관의 서비스 품질, 학생만족, 구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231-256.
  19. 양영순(2008). 노인수발보호사(기존경력자) 보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6, 75-101.
  20. 원효숙(2008). 요양보호사의 교육과 직무 만족에 관한 고찰연구. 삼육대학교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1. 이미자(2008). 우리나라 요양보호사 인력 양성 현황 및 문제점.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1), 69-74.
  22. 이유재, 라선아. (2003). 서비스 품질의 각 차원이 CS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존고객과 잠재고객의 비교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18(4), 67-97.
  23. 이준우, 서문진희(2009).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노년학 29(1), 149-175.
  24. 이환범, 송건섭(2002). 서브퀄 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평가. 한국행정학보 36(3), 249-269.
  25. 이환범, 이수창, 박해원(2005). 전자상거래의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학회보 9(1), 255-271.
  26. 이행동(2009).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우심(2009).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른 요양보호사 교육 및 요양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263-286.
  28. 조선일보(2010.6.2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전체노인의 5.7%만이 혜택.
  29. 조추용(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6, 9-40.
  30. 주미숙(2009). 노인요양보호사 교육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표준교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개발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31. 차수련, 채연수(1999). 교육 서비스품질의 측정에 관한연구. 한독경상학회. 경상논총 20, 81-110.
  32. 최병선(1992), 정부규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규제완화와 규제행정기관. 한국행정연구 1(2), 2021-2046.
  33. 한국여성개발원 (2002). 여성의 노인부양 부담 완화를 위한 성인지적 정책개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34. 한은주, 김태현 (2000).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노년학 20(2), 71-89.
  35. Andreassen, T., & Lindestad, B. (1998). Customer loyalty and complex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9(1), 7-23.
  36. Banwet, D. K., & Datta, B.(2003).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post-visit intentions over time: The case of a library. Quality Control and Applied Statistics 48(3), 537-546.
  37. Donnelly M., Wisniewski M., Dalrymple J. F., & Curry, A. C. (1995).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local government: the SERVQU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8(7), 15-20.
  38.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3), Consumer behavior. 7th ed, New York : The Dryden Press.
  39. Kang, G., James D., & Alexandess, S. (2002). Measurement of internal service quality: Application of the SERVQUAL battery to internal service quality, Managing Service Quality 12(5), 278-291.
  40. Leonard, F., & W. Sasse(1982). The incline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60(5), September-October, 163-171.
  41. Oliver, R. L.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Mc 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42.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9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 (Spring), 12-40.
  43. Pate, William Snyder, Jr.(1990). Modeling consumer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actions among consumer of undergraduate higher education. Chapel Hill :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44. Savas, E. S,(1994), 민영화의 길, 박종화(역), 서울 : 한마음사.
  45. Tse, D. K. & Peter, C. W.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204-212.
  46. Woodside, A. G., Frey, L. L. & Daly, R. T. (1989). Linki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9(4), 5-17.
  47. Zeithmal V. A. & Bitner M. J. (1996). Service marketing, Mc Garw-Hill, International E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