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ice bakanae disease caused by Fusarium fujikuroi is one of the most serious rice diseases in Korea. From 2006 to 2009, 118 F. fujikuroi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regions of rice fields in Korea. Resistance assay of 118 F. fujikuroi isolates to prochloraz, tebuconazole, and benomyl, were performed using agar dilution method.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s of the fungicide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mycelial growth (MIC) and effective concentration inhibiting mycelial growth by 50% ($EC_{50}$) for 118 isolates were calculated using Sigmaplot 8.02 (Antro, SPSS UK, Ltd). Based on the means of $EC_{50}$ values, baseline resistance values were determined as $0.5{\mu}g{\cdot}mL^{-1}$ for prochloraz, $5.0{\mu}g{\cdot}mL^{-1}$ for tebuconazole and $2.5{\mu}g{\cdot}mL^{-1}$ for benomyl. Number of resistant isolates to each fungicide was 17, 19 and 43 for prochloraz, tebuconazole and benomyl, respectively. Furthermore, 4 isolates showed the double resistance to both prochloraz and tebuconazole, 6 isolates to prochloraz and benomyl, and 11 isolates to tebuconazole and benomyl. Isolates CF366 and LF335 isolated from Gyeongbuk province were resistant to the three fungicides tested, prochloraz, tebuconazole and benomyl.
2006년부터 2009년 까지 우리나라의 벼 재배지역에서 키다리 증상을 보이는 시료를 채집하여 벼 키다리병균 118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 공시된 균주는 한전희석법을 이용하여 prochloraz, tebuconazole, 및 benomyl의 세 약제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검정 하였고, 각 균주의 균사 생장율을 조사하여 살균제별 $EC_{50}$ 값을 구한 결과, prochloraz 에서 0.207, tebuconazole에서 2.508, 그리고 benomyl에서 $2.752{\mu}g{\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을 토대로 각 약제에 대한 F. fujikuroi 분리균의 저항성 판단 기준 농도는 prochloraz와 benomyl의 경우 각 각 0.5와 $2.5{\mu}g{\cdot}mL^{-1}$의 낮은 농도 값이 지정된 반면, tebuconazole에 대한 저항성 기준 농도는 $5.0{\mu}g{\cdot}mL^{-1}$으로 다소 높은 값이 지정되었다. 설정한 저항성 기준농도를 적용하여 저항성 균주를 조사한 결과 prochloraz와 tebuconazole 약제에 대해 17개와 19개 균주로 조사되었고,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benomyl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43개로 더 많이 나타났다. Prochloraz와 tebuconazole, proch1oraz와 benomyl, 및 tebuconazole과 benomyl 별로 접종원의 $EC_{50}$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이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각각 4, 11, 6균주였으며, 이 3가지 약제에 모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CF366 와 LF3 35 2균주로 이들은 모두 경북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였다. 각각의 약제에 저항성인 균주들과 이중저항성을 보인 균주, 그리고 세 가지 약제에 대해 모두 저항성인 균주와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여 균사 생장 억제율을 비교해본 결과 해당 약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약제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억제 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