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ing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Researches in Energy Fields using Bibliometic Analysis

과학기술논문을 통한 에너지 연구 분야의 다학제 동태 추적분석

  • Received : 2010.07.16
  • Accepted : 2010.11.2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nalysis and track dynamic properties of the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research areas in energy field using bibliometric analysis. We created network maps with SCs (subject categories) defined from $WoS^{\circledR}$ (Web of Science, Thomson Scientific ISI, Philadelphia, USA) using co-occurrenc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identify overall disciplines directly linked with energy fields and investigate the change of interaction between SCs as a function of tim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modynamics, fuels,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and electrochemistry have differentiated into more specific disciplines while the strength of interaction with energy field gradually has increased. Meanwhile, "nuclear physics" was developed to "nuclear science & technology" toward applicable target sector and also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science" with "energy generation area" among various energy disciplines recently showed the radica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values of 4 years ago. Finally, through combinative reviews of today's energy policy established by South Korea government, this study will give a help for keeping up with national energy agenda meeting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s of energy field. In addition, our results support that the use of such network analysis based on bibliometric analysis to discern shifts in academic R&D strategies and target sectors.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논문분석 (bibliometic analysis)을 통한 에너지 분야의 다학제적 연구 동태를 추적 분석하였다. 에너지 분야와 연계된 전체적인 학문적 상호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 동시발생법(co-occurrence method)으로 Thomson ISI(필라델피아, USA)에서 제공하는 학제분류(SC, subject categories)로 네트워크 지도를 구성하고, 시간에 따라 SC들 상호간의 연계강도 변화를 계측하였다. 네트워크 지도에서 제공된 SC그룹들의 특정적 성격을 파악하고, 그들의 시간에 따른 연계강도 변화를 추적한 결과, 에너지 분야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열역학, 연료, 화학화공, 그리고 전기화학 분야는 보다 세분화된 학문 분야로 분화(differentiation)되는 특정적 추이를 보이는 반면 핵물리 분야는 핵 과학기술로 기초 학문분야의 틀을 벗어나 거시적 산업단계의 위상으로 융합 발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과학 분야는 에너지 분야와의 학문적 연계강도가 4년 전 보다 최근에 급격히 높아져 에너지 분야와 환경 분야의 융합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정부가 수렵하는 에너지 정책의 결합성 있는 검토를 통해서 에너지 분야의 학문적 융 복합적 특성을 만족하는 국가 에너지 의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열, 노현숙(2005), "특허추세/IOM/SOU/키워드 분석을 통한 미래유망 기술시장 발굴 프로세스",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 pp. 249-262.
  2. 교육과학기술부(2010) , '과학기술연감 2009'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사이언스타임즈(2009) , '신성장동력 17개 과제 최종확정' , 서울: 사이언스타임즈
  4. 신재인(2005), "글로벌 Top 10의 선진한국 구현 미래 국가유망기술 21 선정결과와 기대효과", '나라경제' , 제16권 제10호 통권 제179호 pp. 17-20.
  5. 에너지관리공단(2006) , '2000년대 에너지 전략 미국과 일본의 중장기에너지절약정책 중간보고서를 중심으로', 서울: 국회도서관
  6. 에너지경제연구원(2009) , '세계에너지전망2008' , 경기: 에너지경제연구원
  7. (주)알앤디비즈(2009) , '2009 신성장동력시장백서' , 경기 (주)알앤디비즈
  8. 첨단기술정보분석연구회(2009) , '신성장통력산업비즈니스전략' , 서울 : 진한엠앤비
  9. 홍성준(2008), "미래전략 에너지기술개발 영향요인 중요도 산출- AHP 적용 중심으로" 홍성준 외 4인공저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pp. 91-94.
  10. Amsterdamska, O. : Leydesdorff, L. (1989), "Citation: Indicator of significance", Scientometrics, 15, p449-471.
  11. Corrocher, N., Malerba, F., & Montobbio, F. (2003),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the ICT field: main actor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knowledge sources".
  12. Day, G. S., & Schoemaker, P. J. H. (2000), "A different game. In G. S. Day & P. J. H. Schoemaker (Eds)" , Wharton on Managing Emerging Technologies.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3. D. J. de solla Price(1963), "Uttle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4. E. Garfield et al., (1993), "Essays of an Information Scientist", No. 19.
  15. Hung, S. C., & Chu, Y. Y. (in press), "Stimulating new industries from emerging technologies: challenges for the public seaor", Technovation, p. 1-7.
  16. Porter, A. L., Roessner, D., Jin, X.-Y., & Newman, N. C. (2002), "Measuring national emerging technology capabilities", science & public policy 29(3), p. 189-200.
  17. J. S. Katz, Science Foresight Project, Final Report Vol. 1, SPRU Sussex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