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Extracting from the Analysis of Corrosion Status and Microstructure for the Cast-Iron Pot in Bubjusa

법주사 철확의 부식상태 및 미세조직 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연구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Jin (Research Institute of Culture Properties, ENGUARD Co. Ltd.) ;
  • Hong, Jong-Ouk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소진 ((주)엔가드) ;
  • 홍종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0.07.27
  • Accepted : 2010.08.23
  • Published : 2010.09.2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tract manufacturing techniques by analysing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st-iron pot from Bubjusa, examining corrosion status and microstructure with a optical microscope, SEM-EDS, micro vickers hardness tester and XRD. The microstructure analysis has presented that ferrite and partial portion of pearlite exist within the corroded outer layer. The analysis of the inner layer revealed that there is pearlite and graphite of feather shape. The one of the middle layer, which is placed between outer and inner layer, showed that corrosion has been heavily developed. Micro vickers hardness values range from 217Hv to 698Hv in constituent layers and such values lie within the ranges of the ancient iron relics. The result of EDS analysis for each microstructure presented that the outer layer has been more decarbonized than the inner layer. XRD analysis of iron corrosion compound revealed that Goethite and Hematite had been produced from the corrosive process of iron.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large iron pot was made by casting technique, and microstructure of inner layer had a gray cast iron. Outer layer has been decarbonized through repetitive process of heating and cooling. This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comparative study to reveal manufacturing techniques of large cast-iron pot.

법주사 철확의 부식상태 및 미세조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을 추정하고자 광학현미경, SEM-EDS, 미소경도계, XRD를 이용하여 자연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면층의 미세조직에서는 페라이트와 일부 펄라이트 조직이 관찰되었다. 내부층에서는 펄라이트 조직과 깃털모양의 흑연이 관찰되었으며, 중간 경계층에서는 심한 부식현상이 관찰된다. 미소경도는 조직별로 217Hv~698Hv 값의 범위를 가졌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고대 철제유물에서 보이는 경도 값 범위이다. 각 층별 미세조직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표면층이 내부층에 비해 탈탄이 많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금속 부식화합물의 XRD 동정 결과, 일반적인 금속유물의 부식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침철석과 적철석이 동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법주사의 대형 철확은 주조기술로 제작되었으며, 내부는 흑연을 포함한 회주철 조직을 보이고 있다. 또한 표면층은 사용과정에서 가열과 냉각의 반복으로 탈탄작용이 일어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형 철확의 제작기법을 밝히는데 중요한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18, p1, (1996).
  2. 문화재청, 문화재연감. p48, (2005).
  3. 宋應星, 天工開物. 崔炷 譯, 傳統文化史, p177, (1997).
  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금속재료. 교육인적자원부, p128, (2005).
  5. Verhoeven, J.D., Park, J.S., Bevolo, A.J., "Effect of Te on Morphological Transitions in Fe-C-Si Alloy: Part II. Auger Analysis". Met. Trans., 20A, p1875-1881, (1989).
  6. 이오희, 문화재 보존과학. 주류성, p125, 143-144, (2009).
  7. 楊寬, 中國古代冶鐵技術發展史. 盧泰天. 金瑛洙 譯,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88-89, 378, (1992).
  8. 유재은, 고대 철기의 미세조직 분석과 제작기술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4-25, (2002).
  9. 노태천, 한국고대 야금기술사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56-271, (2000).
  10. Davis, J. R., Cast Iron. ASM International, p363-391, (1996).
  11. Park, J. S., Vehoeven, J. D., 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White Cast Iron. Mat. & Mat., p2328-2337, (1996).
  12. 정광용, 김성범, "고신라 금속제품의 제작기법-황남대총 남분 출토 철기유물을 중심으로-". 경주문화연구, 2, p1-24, (1999).
  13. 문선영, 전익환, 유혜선, "경주 황남동 출토 철부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4, p23-32, (2003).
  14. 최종택, 장은정, 박장식, "삼국시대철기연구-미세조직분석을 통해 본 철기제작기술체계".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10, (2001)
  15. Schumann, H., 금속조직학. 학문사, p458, (1996).
  16. 이학렬, 금속부식공학. 연경문화사, p122-123, 216,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