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ioration Degree and Material Research of Metal Archival Objects

금속류 행정박물의 손상도 및 재질 연구

  • Park, Hyung-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Na, Mi-Sun (Conservation, Restoration & Research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박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나미선 (국가기록원 보존.복원연구과)
  • Received : 2010.01.27
  • Accepted : 2010.03.09
  • Published : 2010.03.20

Abstract

The archival objects are tangible evidence reflecting public work as forming archives which are administrative, historic, symbolic, cultural and artistic value. They are produced from the various countries so that they have different material and manufacture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ecause the material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are not established.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fundamental data for the efficient conservation management by material investigation and condition check metal archival objects. Among the public official presents made of metal, 12 pieces which are discoloration, oxidation, loss or crack are chosen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extensive condition of metal archival objects, the condition check card used from the domestic museum and the national museum in Japan are collected and then the new check card is produced. X-ray is used to know the making technique, binding means between different material. Portable-XRF is also used for th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metal archival objects, and then classifying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material. As a result of condition check, it is possible to investgate the appearance character, deteriorated parts and weak parts of structure. Also P-XRF could find out the composition of metal archival objects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condition check card.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long-term conservation.

행정박물이란 공공업무의 활동을 반영하는 유형적 증거물로서 행정적 역사적 상징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형상기록물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제작되어 재질과 제작기법이 다양하지만, 재질조사 및 보존관리 시스템이 확립되지 않아 효율적인 보존관리의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금속류 행정박물에 대한 재질조사와 상태점검을 통하여 효율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금속류 행정박물 중 상태점검 및 재질 분류는 공직자 선물 가운데 변색, 산화, 결손 및 균열이 기록된 12점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행정박물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국내 박물관, 미술관 및 일본민족학박물관에서 사용하는 상태점검카드를 수집 정리하여 새로운 점검카드를 작성 후 금속류 행정박물을 점검하였다. X-ray를 통해 행정박물의 제작기법과 소재간의 결합방법, 구조상 취약부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P-XRF를 사용하여 행정박물의 재질 분석을 시도하여 각 재질별 분류를 실시하였다. 점검결과 행정박물의 외형적 특성과 손상부분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P-XRF 측정을 통하여 재질이 미상으로 기록된 행정박물의 재질을 밝혀내었고 기록카드에 기재된 재질과 다른 재질을 찾아낼 수 있었다. 행정박물의 상태점검 및 손상정도, 재질별 분류 방법은 향후 보존관리를 위한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며 재질에 따른 훼손 방지 및 관리를 위한 보존관리지침 수립 등 장기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서도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역사로 가는 오늘: 2007 국가기록백서 ". 국가기록원, p63, (2007).
  2. 이영학, 김명훈, 임은정, "행정박물의 유형 분류 및 선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지, 4, p115-156, (2008).
  3. 김영관, 문덕희, 정진아, 이미형, "박물관 자료의 수집과 관리: 유물 관리론". 서경문화사, p16, (2000).
  4. 국가기록원, "기록물 보존복원 ". 국가기록원, p21, (2009).
  5. 정광용, "금속문화재의 보존관리". 보존과학기초연수교육,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6. 히라오 요시미츠,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 눈". 학연문화사, p5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