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early adjustment of the infant day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aring attitude -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의 관계 -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Hea, Young-Sun (Dept. of Child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Chung-Ang Univ.) ;
  • Lee, Ju-Lie (Dept. of Childwelfare, Chung-Ang Univ..)
  • 허영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 이주리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7.15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the rearing review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for the early adjustment of 1 to 2 years old at a nursery. First, the result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 significance in the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in the top quarter of the total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e level of the self-differentiation depends on the early adjustment results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elements; except for the emotional fusion that results in the higher the level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that leads to higher early adjustment. Third, the impact of affectional-autonomic and affectional-controlling attitude reflected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entire early adjustment based on the effect of the child-rearing attitude. Finally, the results on whether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s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transition of the infant would mediate the early adjustment-relationship as shown i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Each type of mediation effect showed an affectional-autonomic and affectional-controlling attitude. In this study,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the infant nursery process shows the early adjustment associated with variables, the mother'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parenting attitude that effects the early adjustment that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early adjustment of child-rearing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권일선(1994).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기홍(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및 조화 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진.도현심(2001). 부-모간 양육행동의 관련 변인: 부부관계의 질, 어머니의 인성 특성 및 아동의 초기 기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01-114.
  4. 김영숙(1988).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유미(2007). 영아의 초기적응을 위한 교사와 보육활동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미(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선(2009).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양육태도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순(2008).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205-230
  9. 김희진(2004).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감성지능 및 도덕적 판단능력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희선(1995).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과 자녀양육태도의 관계: Bowen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배문주(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배성희(1996).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애착 및 대인불 안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보건복지가족부(2009). 보육통계.
  14. 송영민(1997). 어머니양육태도와 유아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정숙(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오종은(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희정(2005). 효율적인 혼합연령학급 운영을 위한 구성원 간상호작용과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9(2), 189-211.
  18. 윤정희(200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애착 및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숙(2005).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에 따른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병은(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초기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정란(199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경(2002).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2), 255-272.
  24. 전미경(2004).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현진. 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70.
  26. 정문자.정혜정.이선혜.전영주(2009). 가족치료의 이해. 제3판. 서울: 학지사
  27. 정혜정.조은경(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1), 19-46.
  28. 조영경(1999). 어머니와 자녀의 자기분화 수준 및 신경증적 경향성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난경(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홍윤정(2004).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지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태진(1998).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보육시설에서의 적응.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 Manual Pediatric psyc.
  33.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34. Bowen, M.(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J.(Ed.)., Family Therapy, New York:Gardner Press.
  35. Bowen, M.(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 London: Jason Aronson, Inc.
  36. Bowen, M.(1982).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37. Bowlby, J.(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2nd ed.). New York: Basic.
  38. Biringen, Z., Damon, J., Grigg, W., Mone, J., Pipp-Siegel, S., Skillern, S., & Stration, J. (2005). Emotional availability: Differential predictions to infant attachmen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based on observation time and contex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6(4), 295-308. https://doi.org/10.1002/imhj.20054
  39. Buehler, C., & Gerard, J. M.(2002). Marital conflict, ineff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and adolescents' mal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 65-7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065.x
  40. Crosser, S.(1995). I want my mammy now! Early Childhood News, 7(3), 14-18.
  41. Hendrick, J.(1975). The Whole Child: New Trend in Early Education. Saint Louis : The C. V. Mobsy Co.
  42.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33- 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43. Pett, M. a., & Vaughan-Cole, B.(1994), Maternal employ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young divorced married families, Family Relations, 43, 151-158. https://doi.org/10.2307/585317
  44. Schwartz, J. P., Thigpen, S. E., & Montgomery, J. K.(2006). Examination of parenting styles of processing emotions and differentiation of self.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 Families, 14(1), 41-48.
  45. Skowron, E. A., Kozlowski, J. M., & Pincus, A. L. (2010). Differentiation, self.other representations, and rupture.repair processes: Predicting child maltreatment risk.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7(3), 304-316
  46. Slee, D. T.(1986). The relation of temperament and other factors to children's kindergarter adjustment, Child Psychology and Human Development, 17, 104-112. https://doi.org/10.1007/BF00706649
  47. Stams, G.-J., J. M., Juffer, F., & van IJzendoorn, M. H. (2002). Maternal sensitivity, infant attachment, and temperament in early childhood predict adjustment in middle childhood: The case of adopted children and their biologically unrelated par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38(5), 806-821.
  48. Stanberry, J. P., & Stanberry, A. M.(1993). Postering parental autonomy: An aid to effective parent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er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49. Stright, A. D., Gallagher, K. C., & Kelley, K. (2008). Infant temperament moderates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in early childhood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irst grade. Child Development, 79(1), 186-200.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119.x
  50. Waters, E., & Deane, K., E.(1985). Defining and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Q-methodology and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n I.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4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