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육에 관한 정책연구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Land Education

  • 권용우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손정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황철수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이재준 (협성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변병설 (인하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 이자원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 지리교유과) ;
  • 남선애 (성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투고 : 2010.09.23
  • 심사 : 2010.12.13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국토교육 강화를 위해 두 가지 정책을 제안한다. 하나는 국토관련 학교교육의 내실화다. 여러 선진국의 에에서처럼 우리나라도 선진국을 지향하려면 지리과목을 핵심과목으로 독립시켜 지리교과를 통해 국토교육을 수행해야만 강대국에 도달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국토관련 시민교육의 확충이다. 시민교육의 확충은 시민들에게 학교교육에서 미진한 부분을 교육하고 나아가 학교를 졸업한한 이후에 새롭게 대두되는 국토에 관한 내용을 확대하여 교육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시민교육을 통한 국토교육은 3가지 측면으로 제안한다. 첫째는 국토시민대학의 창설이다. 둘째는 국토교육 이벤트사업의 조정 관리다. 국토해양부 후원 하에 국토교육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러 국토교육이벤트 사업이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는 국토교육 관련 서적의 출판과 포털사이트 운영이다.

This study suggests two kinds of policies to strengthen the national land education in Korea. One is the substantiality of school education on the national land. Korea Should take the national land education by the way of teaching the national and worldwide geography in schools, so that Korea can get to the place of advanced countries like Germany, France, England, and the USA. The other is the strengtheness of citizens education on the national land. We can have the thorough knowledge of the natinal land by the three method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itizens University of the National Land, the arrangement of Various national land events, and the book publication and portal site management of the national lan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참고문헌

  1. Gregory, D., Johnston, R., Pratt, G., Watts, M., and Whatmore, S., 2009,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Blackwell.
  2. Hartshorne, R., 1939, The Nature of Geography, AAG.
  3. Jang, J., 2003, The Establishment of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and its effect in Eng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8(4), 640-656(in Korean).
  4. Johnson, D. L., Haarmann, V., Johnson, M. L., and Clawson, D. L., 2009, World Regional Geography, 10th ed., Prentice-Hall.
  5. Kang, C., 2009, Observation on the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of student teachers: A case of geography classroom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4), 577-603(in Korean).
  6.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Principles and Direction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Geographic Education, Research Papers 200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지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원리와 방향, 연구자료 2001-5).
  7. Korea Research Group of Geographers, 1993, Theorists in the Contemporary Geography, Minumsa (한국지리연구회, 1993, 현대 지리학의 이론가들, 민음사).
  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1, Theorists of the Spatial Paradigm (국토연구원, 2001,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9. Kwon, Y. and Ahn, Y., 2009, The History of Geographical Thoughts, Hanul (권용우.안영진, 2009, 지리학사, 한울).
  10. Kwon, Y. and Byun, B., 2008, Understanding Our Cities,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권용우.변병설, 2008, 우리도시 바로알기, 국토지리학회).
  11. Kwon, Y., Koo J., Hwang, C., Lee, Y., Kim, M., and Lee, J., 2007, Our National Land: Middle School Version, Ministry of Construct and Transport, Korea Land Corporation (권용우.구자용.황철수.이용원.김민수.이종용, 2007, 우리 국토: 중학교용, 건설교통부, 한국토지공사).
  12. Kwon, Y., Koo, J., Kim, D., Noh, H., Yu, H., Joh, Y., and Hwang C., 2007, Our National Land: High School Version,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권용우.구자용.김대영.노혜정.유환종.조영국.황철수, 2007, 우리 국토: 고등학교용, 국토지리학회).
  13. Lee, J., 2010, Policies on the Citizens College of Urban Affairs, CCEJ (이재준, 2010, 시민도시대학정책, 경제정의실천연합).
  14. Lee, T. and Kim, D. W., 2010,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in geograph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2), 293-317 (in Korean).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Land (국토해양부, 2009, 우리국토 바로알기에 관한 연구개발).
  16. Park, S., Kim, H., and Lee, E., 2009, An analysis of students' graphicacy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3),410-427 (in Korean).
  17. Petersen, J., Sack, D., and Gabler, R. E., 2010, Fundamentals of Physical Geography, Brooks Cole.
  18. Ryu, J., 1999, Lecture of the Geographical Education Philosophy, Hanul (류재명, 1999, 지리교육철학강의, 한울).
  19. Song, U., 2009,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Educational Science (송언근, 2009, 지리하기와 지리교육, 교육과학사).
  20. Taylor, B. B., 2010, Altar in the World, An: A Geography of Faith, HarperOne.
  21. http://landlov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