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정보원 연구

  • 조윤진 (진주산업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 최주현 (진주산업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 백현국 ((주)에코그린피아)
  • Received : 2010.08.16
  • Accepted : 2010.10.27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Korea, recent trends indicate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functional clothing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 total of 75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d Duncan's test.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th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was identified. Compared with male consumers, female consumers gave more importance to price and aesthetic criteria. Female consumers take advice from colleagues and companions, as well as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mass media to a greater extent than male consumers. Age was seen to have an effect on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in purchasing functional clothing. Respondent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took textile quality and durability more seriously.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and following the dressing styles of celebrities were preferred by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Keywords

References

  1. 기능성 의류 인기 (2001. 6. 11). 섬유의류연구정보센터.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www.ricta.or.kr
  2. 건강-천연소재 기능성 의류 봇물 (2006).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www.donga.com
  3. 성희원, 전양진, 박혜선 (2005). 자외선 차단 의복에 대한 소비자 조사: 아웃도어 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8), pp. 1136-1145.
  4. 진현정, 이은영 (2007).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소비자의 레저관여와 제품지식에 따른 의류브랜드와 소재브랜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1(9-10), pp. 1333-1341. https://doi.org/10.5850/JKSCT.2007.31.9_10.1333
  5. 문지현, 전은경, 유화숙 (2008). 기능성 소재 스포츠웨어 구입시의 정보이용행태: 의복 및 스포츠 관심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814-1824.
  6. 정인희 (2009a). 웰빙 라이프스타일과 기능성 섬유에 대한 지식이 고기능성 스포츠레저웨어의 중요도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9), pp. 1495-1505.
  7. 정인희 (2009b). 고기능성 스포츠레저웨어의 프리미엄가격 지각에 대한 연구: 스포츠레저활동도, 웰빙 건강의식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9), pp. 1506-1518.
  8. 최라윤, 전은경, 유화숙 (2009). 대학생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지식과 기대수준에 따른 행동 의도 차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 262-270.
  9. 홍경희, 최인려 (2009). 노년층 소비자의 기능성 소재 추구 혜택,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1), pp. 149-161.
  10. 홍경희, 이윤정 (2006). 혁신제품으로서의 기능성 소재 유아복의 채택 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146-156.
  11. 박나리, 김명옥, 문영옥, 서문숙, 서민정, 이규혜 (2007). 니트의류제품 구매행동과 평가기준. 한국의류학회지, 31(7), pp. 1064-1074.
  12. 전경숙 (2000). 남자 중, 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675-685.
  13.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하명근 섬산련 부회장 "PIS展 세계 섬유산업 허브 육성"(2009. 9. 2). EBN 산업뉴스.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ebn.co.kr
  15. 홍희숙, 고애란 (2009). 웰빙 의류상품 구매의도에 의복 추구혜택이 미치는 영향: 친환경의류상품 및 건강 기능성 의류상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 (11), pp. 1839-1852.
  16. 친환경 기능성 섬유 눈길 (2009. 9. 4).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mbn.mk.co.kr
  17. 국내 패션시장 기능성 소재 현황 (2007). 패션채널. 2007년 9월호, pp. 98-100.
  18. 권오경, 고재운 (2002). 고기능섬유와 스포츠웨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pp. 421-431.
  19. 김은애, 김혜경, 나영주, 신윤숙, 오경화, 유혜경, 전양진, 홍경희 (2000). 패션소재기획과 정보. 교문사, p.193.
  20.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Ohio: South- Western, p. 80.
  21.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6). 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제4판). 법문사, p. 88.
  22. 박은주 (1991). 의복구매 상황과 의복평가 기준과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pp. 163-171.
  23. 남미우, 고애란 (2004). 도시 주부의 케이블TV홈쇼핑을 통한 의복구매시 지각된 위험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 54(6), pp. 1-13.
  24. Abraham, M. L., & Littrell, M. A. (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2), pp. 65-74.
  25. Glock. R. E., & Kunz. G. I. (1999). Apparel manufacturing: Sewn product analysi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6. 김미영(1991). 의복평가기준의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pp. 321-334.
  27. 김미영, 이은영 (1988). 의류상품의 유형별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I). 한국의류학회지, 12(2), pp. 249-257.
  28. 김민수, 김문숙 (2003).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복식문화연구, 11(1), pp. 47-65.
  29. 홍병숙, 이은진, 김계연 (2002). 20-30대 여성의 니트웨어 구매행동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7), pp. 1055-1065.
  30. 이경훈 (2001).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 관여에 따른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권유진, 홍병숙 (2006). 대형할인점 점포속성 및 의류 제품평가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7), pp. 1066-1077.
  32. Kotler, P., Armstrong, G., Ang, S. H., Leong, S. M., Tan, C. T., & Yau, oliver, H-M. (2009). Principle of marketing: A global perspective. Prentice Hall, p. 131.
  33. Cox, D. F. (1967). Risk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An intentive study of two cases. Boston: Harvard University, pp. 34-40.
  34. Solomon, M. R., & Ra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1st ed). 이승희, 김미숙, 황진숙 역 (2007). 패션과 소비자행동. 서울: 시그마프레스, p. 470.
  35. 정명선 (1992). 패션정보원 활용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pp. 257-269.
  36. 김경희, 김미숙 (1997). 유행선도력에 따른 여고생의 구매 전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pp. 487-501.
  37. Polegato, R, & Wall, M. (1980). Information seeking by fashion leaders and follower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8(May), pp. 327-338.
  38. 전경숙 (2002). 의복관여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여자 중.고교생을 중심으로. 복식, 52(4), pp. 75-85.
  39. 이진화, 김칠순 (2007).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기준 및 패션정보원 비교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5(5), pp. 3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