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Incorporating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전통창살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 개발

  •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5.04
  • Accepted : 2010.07.21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formative design elements of traditional grate patterns to create new lattice patterns and come up with a design concept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that highlight the uniquenes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its characteristic features. Methodologically, the computer design software programs Adobe Illustrator CS2 and Adobe Photoshop were used to make grate patterns motifs. and they were applied to scarves and again to blouses using a three-dimensional simulation technique. In this study, three basic motifs for a new formative image were set using graphical functions such as omitting, simplifying, overlapping, repeating and reducing shapes based on the images of traditional 亞-shaped, arched and floral lattices, and each motif was expanded to have two variations with different colors applied to them. The direction of basic motif design was set to fit for each of fashion-cultural items such as scarves and blouses. Basic colors for motifs were arranged to create a colorful and modern but staid image in pink, blue, purple, green, yellow and brown tones. Based on a developed motif, changes were made in blouse design with lattice patterns through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repetition, rotation, cross-arrangement, and oblique arrangement, and three-dimensional simulation was used to bring the design to life. Scarf design employed and applied the existing motifs in an appropriate manner for design purposes and reconstructed them through such effects as repetition, rotation, compositional variation and gradation to express a gorgeous and refined image.

Keywords

References

  1. 정효진 (1992). 창살문양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송혜련. 김혜경 (2006) 전통건축문양을 응용한 현대의상디자인 사례에 대한 고찰. 디자인포럼21. 9. p. 21.
  3. 강경애. 김선미 (2008). 조선시대 창살문양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p. 1-11.
  4. 김호정 (2003). 조선시대 궁궐창살문양의 조헝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명옥 (2007). 꽃문을 응용한 의상 작품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3). pp. 270-277.
  6. 이유라. 전기홍. 최수진 (2007). 창살문양을 응용한 한지 공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pp. 317-328.
  7. 이임정 (2002). 한국 전통창살문양을 응용한 호텔유니폼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재경 (2006). 조선시대 꽃 창살의 조헝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강경애. 김선미 (2008). 조선시대 창살문양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 3.
  10. 주남철 (2001) 한국의 문과 창호. 서울: 대원사. p. 87.
  11. 강경애. 김선미 (2008). 조선시대 창살문양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 4.
  12. 이유라. 전기홍. 최수진 (2007). 창살문양을 응용한 한지 공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p. 320.
  13. 주남철 (1999). 한국건축의 장. 서울 : 일지사. p. 82.
  14. 강경애. 김선미 (2008). 조선시대 창살문양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p. 4-5.
  15. 임영주 (1986). 전통문양자료집. 서울 : 미진사. p. 59.
  16. 임재경 (2006). 조선시대 꽃 창살의 조헝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17. 이유라. 전기홍. 최수진 (2007). 창살문양을 응용한 한지 공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p. 321.
  18. 임영주 (1986). 전통문양자료집. 서울 : 미진사. p. 62.
  19. 이유라. 전기홍. 최수진 (2007). 창살문양을 응용한 한지 공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p. 327.
  20. 이유라. 전기홍. 최수진 (2007). 창살문양을 응용한 한지 공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p. 322.
  21. 주남철 (1999). 한국건축의 장. 서울 : 일지사. pp. 83-90
  22. 주남철 (1999). 한국건축의 장. 서울 : 일지사. pp. 245-249.
  23. 임재경 (2006). 조선시대 꽃 창살의 조헝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24.
  24. 김선영 (2009). 매화꽃을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7(6). p.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