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rmative Aesthetics and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Knots

전통 매듭의 조형미와 현대적 활용실태

  • Kim, B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
  • Geum, Key-Sook (Dept. of Textile Art & Fashion Design, Hongik University)
  • 김보영 (동덕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과) ;
  • 금기숙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0.01.08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 Korean knot is one of the ornamental elements that our ancestors used intimately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diverse form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Korean knot have sufficient creative and aesthetic value for it to be recognized as one of beautiful products that was relished by individuals of the times. Starting from two strands, Korean knots make unique forms as they are overlapped or plaited, crossing each other in many ways. The forms of Korean knots were given names such as "nabi maedeup"(butterfly knots) and "gukwa maedeup" (chrysanthemum knots), in reference to thing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were perceived as being similar in their appearance. It is considered that with their unique structure, such Korean knots may provide a good motif for creative design. As well, it is believed that combin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knots with a contemporary sensibility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truly forward-looking desig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of Korean knots, with an eye to their use in future design. In addition, it aims to help to put such historical knotting practices into practical and functional use in the future, through a study of previous uses of historical knotting practices with a modern sensibility. It is thus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 inheriting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ultimately to enhancing the status of Korean design in the world.

Keywords

References

  1. 안휘준 (2008). 한국 미술의 미. 파주: 효형출판, p. 49.
  2. 김은영 (1989). 우리나라 매듭. 서울: 진화, p. 1.
  3.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1997). 매듭장. 서울: 국립문화재 연구소, p. 7.
  4. 김은영 (1989). 우리나라 매듭. 서울: 진화, p. 3.
  5. 김병미.오진 (2002). 한국전통매듭에 관한 고찰. 과학교육연구, 33, p. 57.
  6. 임영주 (2002). 한국 전통매듭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8.
  7.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7.
  8.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1997). 매듭장. 서울: 국립문화재 연구소, p. 8.
  9.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1997). 매듭장. 서울: 국립문화재 연구소, p. 22.
  10. 차명순 (2002). 전통매듭과 현대의 만남. 서울: 느림, p. 14.
  11.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ww.buan21.com
  12. 김은영.김혜순 (2001). 매듭.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 6.
  13.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6.
  14. 차명순 (2002). 전통매듭과 현대의 만남. 서울: 느림, pp. 17-18.
  15.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p. 19-20.
  16. 김은영 (1989). 우리나라 매듭. 서울: 진화, p. 15.
  17.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ww.danwon.org/main.htm
  18. 임상임, 안명숙 (2003). 전통매듭. 서울: 교문사, p. 10.
  19.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31.
  20.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1997). 매듭장. 서울: 국립문화재 연구소, pp. 19-20.
  21. 김지영, 김문진 (2001). 규방공예. 서울: 21세기북스, p. 47.
  22.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139.
  23.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44.
  24.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57.
  25.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145.
  26.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58.
  27. 김영숙 (1987). 朝鮮朝末期王室服飾.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170.
  28. 부산박물관 (2005). 조선여인의 미. 부산: 부산박물관, p. 117.
  29.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87.
  30.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141.
  31. 김은영 (2009). 아름다운 우리 전통 매듭 만들기. 서울: 미진사, p. 39.
  32. 허동화 (2006). 우리 규방 문화. 서울: 현암사, p. 115.
  33.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13.
  34.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p. 72-73.
  35.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93.
  36. 허동화 (2006). 우리 규방 문화. 서울: 현암사, p. 231.
  37.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p. 48-49.
  38. 김희진 (2008). 아름다운 우리 매듭. 서울: 그라픽네트, p. 114.
  39. 이영순 (1973). 매듭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40.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73.
  41. 목진애 (2006). 한국 매듭의 원류와 디자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42. 신동숙 (1984). 노리개 考-삼작노리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43.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p. 141-142.
  44. 한국매듭연구회 (1999). 한국매듭전. 서울: 한국매듭연구회, p. 122.
  45. 자료검색일 2009. 4. 12, 자료출처 http://www.woorikyubang.co.kr
  46. 자료검색일 2009. 4. 12, 자료출처 http://www.cuffsmall.co.kr
  47.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ww.woorikyubang.co.kr
  48.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ww.newshinsa.com
  49.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ww.madamyoon.co.kr
  50.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wrapschool.com
  51.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ajew
  52. 김은영 (1989). 우리나라 매듭. 서울: 진화, p. 239.
  53.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blog.daum.net/film-art
  54. 자료검색일 2009. 4. 23, 자료출처 http://imagesearch.naver.com
  55. 자료검색일 2009. 4. 12, 자료출처 www.style.com
  56. 자료검색일 2009. 4. 12, 자료출처 http://www.visitseoul.net/visit2006
  57. 문화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9. 4. 12, 자료출처 http://e-cen.co.kr/board/bbs/board.php?bo_ table=03_6 &wr_id=33
  58. 문화관광부 (2001). 우리 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p. 7.
  59.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