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D 휘도의 디지털 제어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Control Method of LED Luminance

  • 강신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염정덕 (숭실대학교 전기공학부)
  • 발행 : 2010.01.31

초록

발광다이오드(LED)의 휘도를 제어하는 기존 방식은 펄스폭변조(PWM)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PWM 방식은 LED의 점등시간비와 휘도가 비례하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통신 등의 디지털 방식과는 호환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식으로 적, 녹, 청색 LED의 휘도를 제어하는 실험을하였다. 이를 위해 LED 구동회로와 디지털 논리회로로 구성된 LED 디지털제어 장치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입력에 대한 적, 녹, 청색 LED의 점등 펄스 수를 제어하여 다양한 광색을 구현하고, 측정한 광색의 x, y 색도좌표가 원하는 색의 CIE 색도도 영역에 포함될 수 있도록 디지털 코드를 최적화시켰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LED 램프의 원격 제어로 풀 컬러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lse width modulation(PWM) method has been generally used as conventional method controlling luminance of LED(light emitting diode). PWM method as analog method with a relation that duty ratio of LED be proportional to luminance has weak point that it is not compatible with digital method of communication etc. In this paper, a experiment is conducted which the luminance of RGB LED be controlled by digital method. For this, the LED digital control system is developed which consist of LED driving circuits and digital logic circuits.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pluses on RGB LED versus digital input, various lighting colors is implemented and digital codes are optimized in order that measured x, y chromaticity coordinates of lighting colors are comprised in the CIE chromaticity coordinates area of targeted lighting colo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usefully in research on implementing full color by using remote control of LED lamp with digital commun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장준호, 박병철, 최안섭, ‘시제품 조사를 통한 백색 LED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p.105-108, 5월 2007년.
  2. 박창규, 조상묵, 이민진, 김진선, 김정수, 정희석, 이영주, 'Power LED의 신뢰성 평가 규격 비교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216-219, 5월, 2008년.
  3. J. R. de Britto, A. E. Demian Jr., L. C. de Freitas, V. J. Farias, E. A. A. Coelho, J. B. Vieira Jr, ‘A Proposal of Led Lamp Driver for Universal Input Using Cuk Converter', IEEE, pp2640-pp2644, 2008.
  4. 주대영, ‘녹색성장의 총아인 LED 조명산업 발전전략’, KIET 산업경제, pp14-pp23, 3월, 2009년.
  5. L. Svilainis, 'Considerations of the Driving Electronics of LED Video Display' Proc. of ITI Int. Conf. on Information Technology Interface. pp431-436, June, 2007. https://doi.org/10.1109/ITI.2007.4283809
  6. 한수빈, 'LED 조명용 전원의 설계기술 현황', 한국조명.전기 설비학회지, pp39-pp49, 4월, 2003년.
  7. Seoul Semiconductor, ‘Specification LR770D’, December 2007.
  8. Seoul Semiconductor, ‘Specification LT770D’, December 2007.
  9. Seoul Semiconductor, ‘Specification LB770D’, December 2007.
  10. 장우진, 여인선, 김 훈, 이진우, 염정덕, 김수길, ‘최신 조명환경원론’, 문운당, pp23, 2008.
  11. IES lighting Handbook Reference Volume,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pp1-21, 1984.

피인용 문헌

  1. LED Driving Circuit using Charge Pump for Voltage Distribution vol.26, pp.8, 2012, https://doi.org/10.5207/JIEIE.2012.26.8.001
  2. The Dimming Methods of LED Lamps to Minimize Flicker for the Broadcasting Lighting vol.27, pp.7, 2013, https://doi.org/10.5207/JIEIE.2013.27.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