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eology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Danghang Bay Area, Gyeongnam

경남 당항만 해역의 지질 및 퇴적층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진후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김성보 (동아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이영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자원공학과) ;
  • 김찬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해양공학과) ;
  • 류춘길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Received : 2010.07.05
  • Accepted : 2010.10.12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order to study geology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Danghang Bay area, surface geological survey, SBP (sub-bottom profiler) survey, and sediment analysis were conducted. Danghang Bay area has a closing coast surrounded by land, and surface layer are covered by mud and sandy mud. Sedimentary facies of the surface layer consists of Mm and Mms facies. A SBP seismic survey shows that gas bearing sediments might be spread throughout the sediment layers, so that it seems to be hard to find acoustic basement and gas seeps are easily found throughout the survey lines. The gas trapped in the sediments may be related to the high organic contents of the sediment, and the thick mud layer may restrain the gas from releasing.

당항만 해역의 지질 및 퇴적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표지질조사, SBP 탐사, 표층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당항만 지역은 사면이 육지로 둘러싸인 폐쇄성 연안으로 표층은 주로 점토나 모래질 점토로 피복되어 있으며,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상부의 Mm 퇴적상과 하부의 Mms 퇴적상로 구분된다. SBP 탐사 자료에 의하면 당항만의 퇴적층 내에는 가스 함유층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음향 기반암의 확인이 어렵고 도처에서 gas seep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퇴적층내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는 퇴적물의 높은 유기물 함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두꺼운 점토층이 가스의 방출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K. W. Lee, Seismic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Process of Sediments in Jinhae Bay, Southeastern Coast of Korea,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 49, 1992.
  2. S.C. Park and K. W. Lee, "Mordern Sedimentary Environment of Jinhae Bay, SE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1, pp. 43-54, 1996.
  3. S.C. Park, S. K. Hong, and Y. I. Song,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Marine Geology, vol. 131, pp. 219-232, 1996. https://doi.org/10.1016/0025-3227(96)00006-0
  4. 김창제, 김미금, 손창배, 강성진, "당항만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6권, 제2호, pp. 227-233, 2002. https://doi.org/10.5394/KINPR.2002.26.2.227
  5. 오진용, 이연규, 윤혜수, 김성렬,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가스 함유 표충퇴적물의 3.5 kHz 탄성파 영상," 자원환경지질학회지, vol. 33, no. 3, pp. 239-246, 2000.
  6. 부경대학교 SG연구사업단, "진해만 가스함유 퇴적층에 대한 연구," 해양한국발전프로그램 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005.
  7. 김현도, 김진후, 류춘길, "VibroCorer System을 이용한 해저 퇴적물 조사," 2007년도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전기학술대회 논문집, pp. 221-222, 2007.
  8. 국립수산과학원, http://www.nfrdi.re.kr.
  9. 국립해양조사원, http://www.nori.go.kr.
  10. 엄상호, 최현일, 손진담, 오재호, 곽영훈, 신성철, 윤현수,"경상분지의 경상누층군에 대하지질 및 지구화작적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124, 1983.
  11. 윤선, 손양은,"경상남도 덕명리 해안과 고현리 해안의 진동층의 퇴적구조와 고환경," 고생물학회지, vol. 11, pp. 79-99, 1995.
  12. 양승영,"상부 경상층군에서 발견된 백악기 공룡의 족흔화석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vol.18, pp. 37-48, 1982.
  13. 임성규,"한국 고성 백악기 진동층의 생흔화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6p., 1990.
  14. 김항묵,"한국 공룡골격의 화석성인론에 관한 연구,"자연사환경, vol. 1, pp. 39-64, 1993.
  15. 박수철,"한국 남해 진해만 현생퇴적층의 탄성파 특성 및 퇴적작용,"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931-0400-017-2, 1995.

Cited by

  1. Physical property analysis of sediments for development of maritime archaeological survey techniques vol.38, pp.3, 2014, https://doi.org/10.5916/jkosme.2014.38.3.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