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s for Multi-Layer Planting Model in Seoul Area Based on a Cluster Analysi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식생 군집분석과 종간친화력 분석을 통한 서울형 다층구조 식재모델 제안

  • Received : 2010.08.16
  • Accepted : 2010.10.18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Although multi-layer planting methods are more widely used as a method for clustered planting and environmental programs such as plant remediation, difficulties have been faced in applying those to planting design. This study develops a basic plant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multi-layer planting in basis on an analysis of forest structures in the Seoul area. An optimal number of clusters was determined through the ISA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7 basic clusters were found through a cluster analysis by using PC ORD 4.0 software specifically developed for ecological analysis. The 7 basic clusters include the following communities: th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Sorbus alnifoli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rigida-Pinus densifiora Community, R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Juniperus rigida-Quercus mongolica Community, R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Rododendron sclippenbach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study also selected 57 species with at least a 10% frequency among the plant species existing in the Seoul area and suggested both a companion species and available similar alternative species by conducting an additional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This study may help to enhance usefulness of the model in architectural planting design. In addition, the two results named above were synthesized to develop a multi-layer planting model that can be utilized in landscape planting design by selecting similar alternative species through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which includes 7 clusters of natural plants. The multi-layer planting model can be widely applied to design planting because the model has an average target cover range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a transformed likelihood.

최근 생태환경 조성을 위한 다층구조 식재는 식생복원 등 환경사업뿐만 아니라 군락식재의 방법으로서 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조경 식재 설계에 있어 다층식재 기법을 활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숲 구조를 분석하여 다층식재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 다층 식재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태분석프로그램인 PC ORD 4.0(MjM Soft, 2002) 프로그램을 활용, ISA(Indicator Species Analysis) 분석을 통한 적정 군집수를 설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팔배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신갈나무-진달래군락, 선갈나무-노간주나무군락, 소나무-진달래군락, 선갈나무-철쭉나무군락 등의 7개의 자연 식생군락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상지에 출현한 빈도 10% 이상의 식물종간의 종간친화력 검정을 통하여, 자연식생에서의 수반종과 함께 수급 및 유통이 가능한 대체 유사종을 제시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한 7개 자연식생군락을 기초로 하여, 군락 내 종간 친화력이 있는 식물종을 재선정하여 조경 식재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다층식재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다층식재 모델은 변환우점도 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목표피도를 제시함으로써 식재설계 시 폭넓게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2000) 도시 식물 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모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전오(1997) 중부지방 자연식생 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엽(2007)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5. 김종원, 김성열(2006) 식생분류 컴퓨터 프로그램 [RIM]Ver.2.1. 서울: 한국생태계관리연구소.
  6. 심우경(1993) 생태적 조경설계를 통한 조경관리. 환경과 조경 64: 52-55.
  7. 심우경, 이동익(2001) 조경 식재공간에서 다층식재의 실태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1):140-151.
  8. 안계동(2009) 조경식재 설계 들여다보기. 조경생태시공 53: 52.
  9. 오구균(1986)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궁 후원 자연식생 분석을 통하여.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시 아파트 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연구.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36-248.
  11. 이창석, 홍선기, 한동열(1997) 서울의 식생. 서울특별시 산림생태계 조사보고서.
  12. 조현길. 이경재, 권전오(1998)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강남구 및 중랑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1): 30-41.
  13.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Braun-Blanquet, J.(1965) Plant Sociology. New York: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15. Cole, L. C.(1949) The measurement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Ecology 30: 411-424. https://doi.org/10.2307/1932444
  16. Lee, C. S., S. K. Hong, and Y. H. You(1998) Landscape ecological studies on green-belt zone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Korea. Proceedings of the1st Landscape Ecology Forum on 20. Landscape Ecology: Principle, Concept, and Application. pp.9-25.
  17. McCune, Bruce and James B. Grace(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Oregon: MjM Software Design.
  18. Westhoff. V.and Vander Maarel, E(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Whittaker R. H.(ed.). Handbook of Vegetation Sci., 5: 616-726
  19. 國際生態學センタ一.(1995)環境保全林形成のための理論と實際.財團 法人國際生態學センタ一.橫兵.
  20. http://www.natue.go.kr
  21. http://egis.m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