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에서 조망하는 부산항 경관의 시각적 특성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Port Landscape Viewed from Young-do Island

  • 투고 : 2010.08.02
  • 심사 : 2010.10.15
  • 발행 : 2010.10.31

초록

본 연구는 영도에서 부산항을 체험할 수 있는 조망점을 대상으로 조망점의 공간적 분포, 부산항을 체험하는 시선의 유형, 항구경관의 구도적 특성 그리고 조망점의 시각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정된 조망점 27개소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망점의 공간적 분포 유형은 공원형, 공공시설형, 도로변형으로 구분되었다. 조망점은 도로변형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항을 체험하는 시선의 유형은 수제선회유형, 항만대변형, 도시관통형으로 나타났다. 영도에서 바라보는 부산항 경관에 대한 시선의 유형은 도시관통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유로는 영도라는 섬이 도시화로 인해 시가지와 도로가 점점 확장되면서 부산항을 바라보는 시선이 도시를 관통하여 바다를 조망하는 시선이 많아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항구경관의 구도적 특성은 파노라마형, 회랑형, 지붕너머형으로 파악되었다. 그 중 지붕너머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영도에서 체험하는 부산항의 모습은 대부분 경관의 연속성이 상실되고, 주거지의 지붕이 거리감을 차단하여 일종의 차경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망점의 시각특성을 분석하였다 조망정의 부각은 수평경에 가까운 $-3^{\circ}{\sim}-1^{\circ}$사이에 13개소, $-6^{\circ}{\sim}-4^{\circ}$의 범위에 12개소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부감의 시축에 해당되는 조망점은 2개소로 나타났다. 이는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건물에 의해 내려다보는 시선이 차단된 결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시거리의 지리적 범위는 0.2km~6.4km에 이르는 광범위한 조망역을 이루고 있었다. 최적의 부감경을 체험할 수 있는 조망점 2개소는 지속적으로 조망을 보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부산의 경우와 같은 항만도시에 있어서 조망점의 관리 및 보전 등의 경관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ill define the features of the viewpoint that best enables the view of Busan Port from Young-Do. Special focus will be on spatial distribution, the type Busan Port sights that can be experienced from Young-Do,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 of a port landscape and visual characteristic. The results are based on 27 selected viewpoints a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ttern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iewpoints are classified as park, public facility and wayside types. It was found that most viewpoints are located along a wayside. Secondly, the types of Busan Port sights that can be experienced from Young-Do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surrounding stand-line type, facing the port and the type of penetrating city. The major type was of penetrating city among the three patter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oint of view for Busan Port was changed into a prospect over the sea since city and road sections have been expanding due to the urbanization of Young-Do. Thirdly,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rt landscape are divided into three styles: panoramic, corridor, and rooftop. The most frequent type is the rooftop style among the three characteristic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picture of Busan Port seen from Young-Do loses continuity of view and that housetops inhibit the sense of distance. Lastl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viewpoint were analyzed. The angles of the declination of the viewpoints are concentrated on the horizontally closed parts. Thirteen points lie between $-3^{\circ}$ and $-1^{\circ}$, and twelve points between $-6^{\circ}$ and $-4^{\circ}$. The visual axes of the depression are two points because sight is interrupted by buildings which are built when the city expands. Two viewpoints for experiencing the optimum landscape of depression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continuous preservation of the viewpoints. The sight creates a wide prospect, reaching from 0.2km to 6.4k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landscape plans of port cities including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viewpoin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1. 강명수(2001) 진경산수화 분석을 통한 산지구릉 경관 유형의 분류 및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9(4):12-23.
  2.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서울: 효형출판.
  3. 강영조, 조승래, 김희정(2005) 고개의 조망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4): 22-32.
  4. 강영조, 차영채, 차명숙(2008) 경관체험이 발생하는 조망점의 지리구조에 관한 연구: 양산시 소재 산지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3): 75-84.
  5. 김기호(1996) 게쉬탈트(Gestalt)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143-157.
  6. 나카무라 요시오(2005) 風景をつくる. 강영조(역). 풍경의 쾌락. 서울: 효형출판, 2007.
  7. 나카무라 요시오(1982) 風景學入門. 김재호(역). 풍경학 입문. 서울: 문중출판, 2008.
  8. 노영란, 박성진, 이청웅(2008) 해안경관계획을 위한 물리적 구성요소 개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논문집 10(4):167-174.
  9.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70-79.
  10. 부산일보(1997) 9월 24일자.19면.
  11. 서울특별시(2000) 서울의 주요 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12. 심은경, 강영조, 김승환, 남정칠, 박승범, 이기철, 박한우(2000) 산복도로에서 보는 부산항 경관의 구도적 특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연구논문집 24(1): 165-17.
  13. 윤진보(2004) 항만도시의 경관 분석과 관리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인성, 김충식(2002) 도시경관 관리를 위한 가시율 분석기법의 개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4): 23-34.
  15. 이청원(2010) 도시공공조망점 선정에 있어 문화적 인자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1994)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기법에 관한 연구(II). 한국조경학회지 22(3):105-120.
  17.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서울: 집문당
  18. 徐金泓(2003) 臨港都市における斜面市街地の眺望景觀形成に関する硏究. 神 戶大學大學院自然科學硏究科博士論文.
  19. 篠原修(1982) 土木景観の計画.東京: 技報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