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s well as "Sangyeongpyo," "Gogyeong-Jeongripyo," table of national road transportation system is important to comprehend identity of national geography in Joseon era even if it had not been researched y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vide type of these tables and find its genealogy through mainly analyzing the road network and land name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Yeojigo," topographical researches of Korea, edited by Shin Gyeong-Jun as a palt of "Dongguk-Munheonbigo" official book in natur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1770, might be identified as the origin for all copy of "Gogyeong-Jeongripyo." Then "Gogyeong-Jeongripyo,"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hree major types; almost direct descent of "Yeoji go" as 'type1', minor modification as 'type2', and hybrid edition(type3) with second type that quoted many land names as route information from "Dorogo," another topography specialized for road transportation. Since "Dorogo" was also composed by Shin, after all, all genealogy of "Gogyeong-Jeongripyo" came from him.
'산경표'와 나란히 조선후기 국토지리사상의 체계화와 대중화의 상정으로 여겨지는 '거경정리표'는 지금까지 주 연구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거경정리표는 조선후기의 국토지리관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며, 당시 도로교통체계상의 분석에도 중요한 연구소재이다. 본 논문은 수많은 사본들이 전해지고 있는 거경정리표들을 '대로체계'와 '경유지명'에 착안하여, 내용면에서 유형분류를 시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아울러 각 유형 및 다른 지리지들을 비교하면서 그 계통성에 대해 가설을 제시하면서 향후 거경정리표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거경정리표는 산경표와 마찬가지로 신경준이 편찬한 동국문헌비고 여지고를 저본으로 하면서도 필사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공되었으며, 그 변화과정의 차이에서 '여지고 변형형', '여지고 직계형', '도로고 혼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 점, 거의 각 유형간의 내적인 상호작용만으로 계보가 형성되고 개항기까지 내려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