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for the Arts and Crafts by machine for Project Based Learning upon Improving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y for Vocation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공작실습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학생들의 직업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9.1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ved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for the arts and crafts by machine for project based learning upon improving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y for vocation, and to provide the incumbent teachers and future teachers who want to conduct research, a similar study with the basic reference materials.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terested in this study are communication ability, information usage skills, team work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tool usage skills, and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reas. Because the result of pre and post testing over these six areas has in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we reach a conclusion which project 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practice methods at improving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of industria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kinds of things needed to improve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First, we require the divers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b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cultivate people of ability with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Second, it is required that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e have to develop a more objective test tool than that used in this study. Third, in the light of facts that project based learning influences on improving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of the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 we will have to make an effort actively to find the b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project based learning. Therefore, we need to give diverse training opportunities and financial support so that teachers can conduct research to find the b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t improving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for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에 의한 기계공작실습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들에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둔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 능력, 정보활용 능력, 팀워크 능력, 문제해결 능력, 도구활용 능력, 책임감 및 자신감 영역이었다. 이 여섯가지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실습 방법보다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공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그리고 후속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과 같은 직업기초능력이 있는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검사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전인적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적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학습법에 대한 교원연수를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민희, 유정문(2004).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25(2), 74-86.
  2. 김대현, 이경화, 왕경순, 이은화(2001).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3. 김미숙, 김현수, 박종성, 박윤희(1998). 기술분야 기초직업능력 인증제도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김민범, 김용범, 김영식(2007). "홈페이지 제작"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이 직업기초능력 중의 정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1), 31-40.
  5. 류창열(2004). 공업교육원론, 교육과학사.
  6. 류창열(2006). 기술교과 교수법. 충남대학교 출판부.
  7. 박동열 외, 황영아(2008). 전문계 고교생용 직업기초능력진단도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자료 2008-7.
  8. 박수홍, 황영미(2006). 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12(3), 361-394.
  9. 사공미경, 최명숙(2009).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향성과 교사의 스캐폴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15(1), 215-234.
  10.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2004). 지구환경과 교육 ; 달 관측 프로젝트 학습(Project Based Learning)과 인지갈등을 통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및 교육심포지엄, vol 2004, 109-110
  11. 서우석(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교육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32, 1-16.
  12. 신수범, 한희정(2006). 븐랜디드 학습에 기반한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9(4), 25-34.
  13. 신명훈, 이동임, 김상진 외(1999). 직업능력 인증제 도입을 위한 외국의 운영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안광식, 최완식, 이영민(2007). 교사가 인식하는 공업계고등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교육요구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2), 31-47.
  15. 이동임 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00-21.
  16. 이무근 외(1999).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17. 이무근 외(1997).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18. 이무근.김판욱.김재식(1995).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 배영사.
  19. 이영민(2006).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프로젝트 학습법 실천사례.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1), 129-145.
  20. 이영민, 배동윤(2008).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137-153.
  21. 이영민, 류진선(2008).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213-232.
  22. 이종성, 정향진(2002).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02-14.
  23. 이춘식(1991). 기술교과 교육에서 프로젝트법의 적용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1), 53-62.
  24.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Barrows, H. S., & Tambhyn, R. M.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26. Brush, T., & Saye, J. (2000). "Learning style-based teaching to raise minority student test scores: There's no debate!", Clearing House, 76(2), 103-106.
  27. Gonzales, A. H., & Nelson, L. M. (2005), "Learner-Centered Instruction Promotes Student Success: Northface University Prepares Its Computer Science Students for the Workplace with Real-World Projects", The Journal, 32(6), 10-15.
  28. Harel, I. & Papert, S. (Eds.). (1991). Constructionism. Norwood, NJ: Ablex.
  29. Tomas,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Autodesk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