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n Improvement Level of Rural Village Roads in Korea

농촌마을내부도로의 정비수준 진단지표개발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Since rapi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out-of-village roads have been greatly improved, while almost all of in-village roads have not been fundamentally improved yet. Unless village roads should be improved in relatively comparison with trunk roads,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grass rooted achievement of accessibility revolution not be realize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for improvement of village roads.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on village road conditions was proposed which is sub-categorized as structural improvement of road itself, its communication serviceability and public securing level of property rights of road site. The system has 6 indicators(2 of each subcategory);good pavement ratio and over 3m wide road length ratio, ratio of household fronting under 2m wide road and connectivity of road network, ratio of registered as 'road' in land category and ratio of publicly owned road sites. In the final conclusion, village roads in rural Korea have been generally in worse condition regardless of whether prior improvement works or not, except some of recent plan-based improvement village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농어촌진흥공사, 1997, 농어촌도로기술총람.
  2.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1, 농어촌도로에 관한 연구(마을내도로를 중심으로).
  3.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8, 문화마을조성 사업 사후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4. 농업기반공사, 2001,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사업 설계지침(마을정비편).
  5. 농업진흥공사, 1986, 농촌계획의 안내서.
  6. 농촌진흥청, 2008, 어메니티를 고려한 농촌지역의 특성화 도로 시스템 개발
  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6, 토지이용계획론, 보성각.
  8. 대한민국 정부, 2007, 도로법.
  9. 대한민국 정부, 2008, 농어촌도로정비법.
  10. 대한민국정부, 2008, 지적법.
  11. 박종덕, 장태현, 신병철, 이은엽, 2005, 한국 전통마을의 마을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 67-74
  12. 양승정, 박용환, 200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간통사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계획계) 21(7), 39-48.
  13. 원제무, 하오근, 2009, 주거지역 도로망 평가지표 개발, 서울도시연구 10(2), 3-10.
  14. 이재길, 1993, 가로망 평가를 위한 지표와 평가수법에 관한 연구, 교통정책 78, 61-68.
  15. 엄승빈, 조순재, 박창석, 1995, 취락구조 개선마을(新村形)의 주민의식 및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 53-66.
  16.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하우, 김기성, 도덕현, 이남호, 이정재, 최수명, 황한철,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18. 정헌영, 정준영, 김승룡, 1998, 도포교통환경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도로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 6(1), 57-62.
  19. 최수명, 이행욱, 2003, 농어촌 도로의 정비현황 조사 분석 - 전남 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 25-34.
  20. 최수명, 최동진, 2002, 농어촌도로 정비사업의 정책적 전개방향, 한국농촌계획학회지 8(2), 42-49.
  21. 최양부, 김정연, 이진환, 1987, 농촌도로체계의 설정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하오근, 2009, 주거지역 가로망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9, 도로설계편람.
  24. 今井 敏行, 1984, 農村整備と集落道路 農林統計協會.
  25. Choi, An-Seop, Young-Ook Kim, Eun-Suk Oh, Yong-Shik Kim, 2006, Application of the space syntax theory to quantitative street lighting design, Building and Environment 41, 355-366.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5.01.026
  26. Hillier, Bill and Julienne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
  27. Marshall, Stephen, 2005, Streets & patterns, Spon Press.
  28. http://dic.yonsei.ac.kr (연세 한국어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