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uideline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for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경관농업지 경관계획 기준 연구

  • Kang, Young-Eu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physical indicator of landscape that can be guidelines so as to evaluate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finds out the guideline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lastly through examining importance of indicators and the preference of each indicator of landscape. The physical landscape indicators were derived from document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 to evaluate visual landscape on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In addition,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inspect the physical landscape indicator, managers' interview and photograph was took for evaluating the landscape simulation. Moreover, the important elements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the importance of physical landscape indicator and the preferences of each indicator were deriv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 to experts and general publics. The physical landscape indicator guideline was established from the following procedures. In case of the land, flat area had higher preference than steep region. So, planning an agricultural area at a flat region with open space will be better than establishing an agricultural area on a steep region. In case of the kind of landscape crops, For the background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the seashore type had the highest preference and mountain type and non-background type was followed in order. According to the study, facilities built with natural elements such as straw-roofed pavilion received high preference. Therefore, look-out shed and straw-roofed pavilion should be introduced in the landscape agriculture planning to select materials and colors to keep harmony with the na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est choice for improving visual landscape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on selecting suitable land, facilities and so on. Moreover, the results of manager interview could be used as a useful tool in the management and formation of visual landscape. The landscape point evaluating visual landscape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relative guideline for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landscape agreement. In addition, it c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improve the general landscape and revitalize the rural area.

Keywords

References

  1. 김농오, 1997, 한국농촌경관의 재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연안환경연구지, 9(1), 65-79.
  2. 김상범, 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13-18.
  3. 농림수산식품부, 2005, 경관보전직불제 2005시범사업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
  4. 박구원, 2005, 고창청보리밭을 통해 본 경관농업의 실용적 특징, 관광연구저널 19(2) 83-87.
  5. 박경철, 2007, 우리나라 경관농업의 실태와 발전방안 : 고창군 경관농업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관광연구, 14(1), 51-71.
  6. 박석근, 2006, 경관농업을 이용한 지역 활성화 전략, 농촌관광연구, 13(1), 15-28.
  7. 서주환, 김상범, 1998, GIS를 활용한 경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2), 62-72.
  8. 서주환, 최현상, 이준근, 2002, 농촌경관 도입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 평가 : 농촌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1-7.
  9. 송대호, 윤종국, 2006,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경관선호 유형 및 영향요인 추출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9), 243-250.
  10. 신정숙, 2006, 농촌전통테마마을 경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지훈, 2003, 도시 경관계획 지표 연구 : 건축물 규모 및 배치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마무라 나라오미, 1995, 안상배 역, 지원자원의 보전과 창조, 서울 : 농업과학기술원.
  13. 이순혁, 1977, 한국농촌경관의 시학분석 및 개선방안 : 경기도 시범부락을 중심으로 환경농촌학회지 4(1), 114-134.
  14. 이태희, 1985, 쌍체비교기법을 통한 중정의 시각선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6. 장효선, 김은순, 엄대호, 2007, 경관보전직불제 시범 사업의 시행사례 분석 및 개선방안 : 봉화군, 청원군, 홍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4), 69-77.
  17. 정철모, 2005, 경관농업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경관 보전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3), 191-210.
  18. 정철모, 박미호, 2004, 녹색농업관광 활성화를 위한 경관농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1), 57-64.
  19. 정철모, 박미호, 2007, 한국의 경관농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3), 13-21.
  20.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 동현출판사.
  21. 채혜성, 신수안, 이지영, 이관용, 최옥현, 조정윤, 류선정, 안동만, 2005, 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4), 115-123.
  22. 한국농촌공사, 2001,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사업 설계지침 마을정비편.
  23. 한국농촌공사, 2002,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사업 설계지침 농촌도로편.
  24. 한국농촌공사, 2005, 농촌계획 수립을 위한 경관가치의 평가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5. 환경부, 2004,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6. Countryside Agency, 2003, Areas of outstanding nature beauty management plans, The United Kingdom Countryside Agency Publications.
  27. OECD,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28. USDA, 2001, The Built Environment Image Guide-for the national forests and grass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