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2009) of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Ninth Circuit and its Implication to the Korean Game Law

폭력성 비디오게임에 대한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판결이 한국게임법제도에 주는 시사점 :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2009)

  • 박민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
  • 황승흠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 Published : 2010.02.20

Abstract

In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 the federal 9th Circuit Court decided that a California law imposing restrictions and a labeling requirement on the sale or rental of violent video games to minors (the "Act") violated rights guaranteed by the First and Fourteenth Amendments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because: (1) the state introduced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a compelling interest that video games created psychological or neurological harm, (2) the Act was not the least-restrictive alternative to negate the harm, and (3) the lower, rational basis standard applicable to commercial speech did not apply to the Act's labeling requirements because the required label did not convey factual information. On the contrary,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Harmful Medium to Youth" and "Preliminary Rate Classification" would be constitutional. However, under the least-restrictive method rule of the U. S. Court and Korean Court, overlap application of "Harmful Medium to Youth" and "Preliminary Rate Classification" could be a problem and it would be possible that stronger regulation among these would be found as unconstitutional.

이 논문은 2009년 2월 20일 미국의 제9 연방순회항소법원에서 내려진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 사건에 대한 판결의 의미와 한국게임법제도에의 시사점을 검토한 것이다. 이 사건에서 제9 연방순회항소법원은 폭력성 비디오게임을 18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게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캘리포니아 주법(州法)이 미국 연방헌법에 명시된 미성년자 (minor)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비해서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청소년보호를 위한 청소년유해매체물 제도와 사전등급분류 제도에 대해서는 합헌이라는 결정을 하였다. 헌법재판소는 미국의 제9 연방항소법원의 판결과 같이 음란과 폭력성을 구분하여 접근하고 있고, 폭력성 개념이 대해서 간접적으로 위헌적이라는 결정을 한 바 있다. 미국법원의 덜 제한적인 수단의 선택이라는 법리와 헌법재판소의 최소침해성 원칙에서 본다면 청소년유해매체물 제도와 사전등급분류 제도의 중첩 적용은 문제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더 강한 규제가 위헌이 될 소지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2009 WL 415582 {C.A.9 (Cal.)}.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 556 F. 3d 950 C.A. 9 (Cal.), Feb. 20, 2009. 미국의 순회항소법원은 우리나라의 고등법원에 해당한다.
  2. 401 F. Supp. 2d 1034,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Arnold Schwarzenegger,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N.D. California. San Jose Division. Dec. 21, 2005.
  3. 황승흠, 게임물 규제체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 제11집 제1호, 중앙법학회, 2009, 427-429면
  4. Daniel A. Farber 외 2인, Constitutional Law, West Publishing Co., 1993, ch. 6
  5. United States v. Playboy Entertainment Group, Inc., 529 U.S. 803, 813 (2000).
  6. Sable Commc'ns of Cal., Inc. v. FCC, 492 U.S. 115, 126 (1989).
  7. Ginsberg v. New York, 390 U.S. 629 (1968).
  8. Erznoznik v. City of Jacksonville, 422 U.S. 205, 212-13 (1975).
  9. Memoirs v. Massachusetts, 383 U.S. 413 (1966)
  10. Miller v. California, 413 U.S. 15,24(1973).
  11. Eclipse Enterprises, Inc. v. Gullota, 134 F.3d 63 (2d Cir. 1997)
  12. James v. Medow Media, Inc., 300 F.3d 683 (6th Cir. 2002)
  13. American Amusement Machine Association V. Kendrick, 244F.3d 572 (7th Cir. 2001)
  14. cert. denied, 534 U.S. 994 (2001)
  15. Video Software Dealers Association v. Webster, 968 F.2d 684 (8th Cir. 1992).
  16. 헌법재판소 결정 2000. 6. 29. 99헌가16 구 청소년보호법 제2조 제3호 가목 등 위헌제청
  17. 헌법재판소 결정 1996. 10.4. 93헌가13, 91헌바10 (병합) 영화법 제12조 등에 대한 위헌제청
  18. 헌법재판소 결정 2007. 10. 4. 2004헌바36, 구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 제18조제5항 위헌소원
  19. 박용상, 표현의 자유, 현암사, 2002, 25-41면
  20. 헌법재판소 결정 1998. 4. 30. 95헌가16 출판사 및 인쇄소의 등록에 관한 법률 제5조의2 제5호 등 위헌제청
  21. 헌법재판소 2002. 2. 28. 99헌가8 미성년자보호법 제2조의2 제1호 등 위헌제청
  22. 헌법재판소 2004. 5. 27 2004헌가1 학교보건법 제6조 제1항 제2호 위헌제청, 2004헌가4(병합) 학교보건법 제19조 등 위헌제청
  23. 김정환, 독일의 청소년보호를 위한 연령등급제도와 유해매체물목록제도, 경희법학, 제44권 제2호, 경희법학연구소, 2009, 88-90면
  24. http://www.cnbc.com/id/33074886/site/14081545 (2009년 10월 26일 방문)
  25. Houston v. Hill, 107 S. Ct. 2502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