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on in Science Instruction Using Internet Messenger: A Case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Apprenticeship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 Lee, Go-E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J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고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5.25
  • Accepted : 2010.08.27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internet messenger was investiga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9th grader in middle school in Seoul. They attended a program offered by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rnet messenger (instant messenger) was used for instruction, and data were collected by saved messages. Toulmin's argument model was used as a tool for analyzing students' argumentation, and the argumentation patterns were categorized by sequence of argument oper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s, there were lots of relatively higher-level argumentations appeared. On the contrar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ended up with few or lower-level argumentation. Also there were four types of argumentation patterns emerged throughout the whole instruct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 models and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opic be necessary for promo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s well as enhancing the students' ability of argument.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논변활동과 대화의 유형을 분류하여 수업 주제와 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서울대학교 영재센터 학생 가운데 선발된 5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터넷 메신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논변활동은 Toulmin의 논쟁 틀에 바탕을 두어 분석되었으며, 논변활동 요소의 흐름에 따라 논변활동을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의 기회가 높은 수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논변활동이 나타났으며, 전체 수업에 걸쳐 4가지의 논변활동 유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논변 능력 향상과 교수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절한 주제 선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박미순, 정지윤, 박효진, 2009,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 67-85.
  2. 곽민희, 유정문, 2004,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5, 74-86.
  3.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1216-1234.
  4. 박수미, 2004, 인스턴트 메신저(IM)의 기능 변이에 관한 연구: 매체변이가설(mediamorphosis)을 중심으로 한 다이용자 대상 Q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춘계학술대회, 285-304.
  5.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 708-718.
  6. 박수경, 강민주, 김상달, 2001, 지구과학 해양 단원의 웹기반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264-278.
  7. 박영신, 2010, 교사-학생 상호작용간의 과학논증 탐색: 인식론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06-117.
  8. 백남권, 안영학, 2004,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투입 시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3, 123-130.
  9. 이숙미, 박상혁, 백승익, 2003, 인터넷 메신저는 커뮤티케이션 패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3-90.
  10. 이정민, 2001, 웹기반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의 인터넷메신저(Internet Messenger)의 활용 및 상호작용성에 대한 사례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 p.
  11. 이정선, 유정문, 2003, CMC 환경과 상호작용 유형이 과학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25-634.
  12. 이효녕, 조현준, 손정주, 2009, 학교과학교육에서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666-679.
  13. 임길선, 2003, 웹기반 STS생물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학습동기와 창의적성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1, 183-205.
  14. 임길선, 정완호, 2004,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웹 기반 STS 수업모형 개발: 생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851-868.
  15. 장신호, 2004, 과학 대화를 이용하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및 대화 능력의 변화.발전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16, 77-99.
  16. 정은숙, 안도희, 2009, 웹기반 과학 수업 방법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 281-305.
  17.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2000, 평생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 223-246.
  18. 최정임,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중심학습 방법(NetPBL)의 활용 유형과 절차. 교육공학연구, 14, 167-186.
  19. Jimenez-Aleixandre, M.P., Roderiguez, A.B., and Duschl, R.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 757-792.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11)84:6<757::AID-SCE5>3.0.CO;2-F
  20. Lemke, J.,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NJ, USA, 261 p.
  21. Norris, S.P. and Phillips, L.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 224-240. https://doi.org/10.1002/sce.10066
  22. Osborne, J.F., 2002, Science without literacy: A ship without a sai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 203-215. https://doi.org/10.1080/03057640220147559
  23. Osborne, J., Erduran, S., and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24. Pea, R.D., 1993, Learning scientific concepts through material and social acticivities: Conversational analysis meets conceptual change. Educational Psychologist, 28, 265-27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3_6
  25. Prawat, R.S. 1989,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ree key attribut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 315-328. https://doi.org/10.1016/0742-051X(89)90029-2
  26. Rivard, L.P. and Straw, S.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 566-593.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66::AID-SCE2>3.0.CO;2-U
  27. Romiszowski, A.J. and Mason, R., 1996,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Jonassen, D.H. (ed.),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USA, 397-432.
  28.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240 p.
  29. Zoller, U., Dori, Y.J., and Lubezky, A., 2002, Algorithmic, LOCS and HOCS (chemistry) exam questions: Performance an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185-20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49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