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liance and Barriers to Self-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제2형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이행과 장애수준

  • Received : 2010.01.29
  • Accepted : 2010.02.25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and correlation of compliance and barriers to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2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enrolled in the out-patient clinic of C national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done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for self-care behavior was higher than average level. Level of barriers to exercise was also higher than average, and higher than other barriers of diet and medication; There were low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barriers to diet, exercise and medication; Variance in barriers to exercise, using alcohol, regular hospital visits, medical treatment and good foot care explained 29.6% of the variance in self-care behavior.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the self-care behavior of medication and barriers to exercise were the highest. Barriers to exercise highly influenced self-care behavior. Barriers to diet and exerci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self-care behavior. Further study or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decrease barrie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eywords

References

  1. 구미옥(1994).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 자기조절, 상황적 장애, 자기간호행위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4(4),635-651.
  2.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2008). 2007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저자.
  3. 권경자(2001).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에 대한 지식, 신념 및 행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김선향(2006). 제 2형 당뇨병환자의 우울, 자가간호이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은정(2007). 규칙적인 운동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서울.
  6. 김인자, 이은옥, 최희정(2003). 성인이 지각한 운동 장애 요인에 대한 성별, 나이별, 지역별 비교. 성인간호학회지,15(2), 193-204.
  7. 민경완, 안근희, 손태서, 박용문, 홍영선, 김연수 등(2005).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운동습관에 대한 다기관 연구. 당뇨병, 29(6), 517-525.
  8. 박봉숙, 진기남, 최윤정, 정지희, 김경회, 이미영 등(2005).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 당뇨병, 29(3),254-261.
  9. 손태서, 이정민, 장상아, 한경아, 손현식, 김효정(2007).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알맞은 운동 거리 및 운동 시간에 대한 다기관 연구. 당뇨병, 31(2), 157-162.
  10. 심보민(2006). 당뇨병 교육을 받은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수행 방해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1. 유주화, 서문자(2003). 당뇨인의 인슐린주사관련 자가간호행위수행 및 관련요인 분석. 대한당뇨병간호학회, 27(2),153-164.
  12. 이명숙(2008). 일개 보건소에서 치료받는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과 이행 및 장애요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3. 이미라, 송미순, 심보민, 김선호, 장성주(2006).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414). 서울: 골든기획.
  14. 이의경, 최영옥(2000). 노인 당뇨환자의 복약 및 다제병용실태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1), 81-93.
  15. 이혜진, 윤진숙(2005). 보건소 방문 제 2형 당뇨병환자의 식행동 영향 요인 분석.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1(2), 223-232.
  16. 이희정(2002). 고혈압 환자의 약물요법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천안.
  17. 임봉주, 김현리(2006).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따른 족부상태-생리적 지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32차대한당뇨병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275-277). 서울: 골든기획.
  18. 전정은(2007). 당뇨환자의 식사요법 수행과 관련된 장애요인 및극복방법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남.
  19. 최경애, 장수미, 남홍우(2008). 노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 실태 및 방해요인. 대한당뇨병학회, 32(3), 280-289.
  20. 최은옥(1998). 능력증강 교육프로그램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능력증강 상태, 자기간호행위 및 당대사 조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1. 통계청(2006). 2006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서울: 저자.
  22. 한지숙, 정지혜(2004). 당뇨병 환자의 웹기반 식사관리 및 영양상담 프로그램.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1), 114-122.
  23. 허갑범(1995). 한국인 당뇨병의 특성. 당뇨병, 19(3), 1-4.
  24. Daly, J. M,. Hartz, A. J., Xu, Y., Levy, B. T., James, P. A., Merchant, M. L., et al. (2008). An assessment of attitudes, behavior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22(3), 280-290.
  25.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https://doi.org/10.3758/BF03203630
  26.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2). International curriculum for diabetes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Brussels: Author.
  27. Khattab, M., Khader, Y. S., Al-Khawaldeh, A., & Ajlouni, K.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4(2), 84-89. https://doi.org/10.1016/j.jdiacomp.2008.12.008
  28. Loman, D. G., & Galgani, C. A. (1996).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22(2), 121-125. https://doi.org/10.1177/014572179602200204
  29. Pender, N. J. (1997). 건강증진과 간호실무 (최명애, 이인숙역). 서울: 현문사. (원저 1996 출판)
  30. Thomas, N., Alder, E., & Leese, G. P. (2004).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80(943), 287-291. https://doi.org/10.1136/pgmj.2003.010553
  31. Walker, E. A., Molitch, M., Kramer, M. K., Kahn, S., Ma, Y., Edelstein, S., et al. (2006). Adherence to preventive medications: Predictors and outcomes in the diabetes prevention program. Diabetes Care, 29(9), 1997-2002. https://doi.org/10.2337/dc06-0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