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Job Contents of Edu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newly the role of the educare teachers by finding th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duty and understanding its feature. With the research, I'd like to present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re-training and education for specialty. I Q-sorted 17 teachers based on the 36 statements which had been selected carefully.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first type is the teacher who is aiming the specialized education. The teacher of this type needs to have the comprehensible knowledge on the child-development and seeks the teacher's specialty with self-supervision and study group. The second type is the teacher who is pursuing safety and protection for the children. The teacher of this type considers safety and cleanness very important and thinks that he or she should take care of the children by the cooperation with parents. The third type is the teacher who is heading for everyday's life and improvement. He or she thinks that teaching the child daily life is significant and by it, the child should grow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us 3 points. The first, we need to re-design training program for the educare teachers. The second, we should prepare the manual for th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infants' growing-up. The third, we should understand the teacher's type and train him or her in accordance with the type.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재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보수교육, 전문성 향상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엄선된 36개의 진술문(statement)을 가지고, 17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Q 방법론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유형은 '전문적인 교육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개별지도를 위해 보육교사가 아동발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자기 장학이나 연구회 활동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형은 '안전 및 보호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를 보호(care)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보육시설에서의 안전과 청결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영유아 보육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형은 '일상생활 및 성장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영유아의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함의는 첫째, 보육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 매뉴얼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전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남대학교

References

  1. 강문숙, 황해익. (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유아교육논총, 17(2), 1-23.
  2. 고문숙. (1995). 유치원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 적용경험이 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과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증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순은. (2007). Q 방법론과 사회과학. 금정.
  4. 김순은. (1999). Q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9(2), 201-206.
  5. 김옥주, 조혜진. (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6. 김이경. (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분석 및 기준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김춘희. (2000).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린. (1993).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순명. (2002).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정. (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은혜. (1999). 유아교사 교육에서 수업사례 활용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61-78.
  12. 박향숙. (1994).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배소연. (1993).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 교육의 방향. 교육학연구, 31(5), 153-171.
  14. 신희연. (2004). 영유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선영, 류칠선, 지옥정. (2000). 반영적 자기 성찰에 기초한 유치원 교사의 집단학습 과정 연구. 유아교육연구, 20(4), 209-225.
  16. 오선균. (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숙희. (2005). 보육교사에 대한 시설장의 신뢰성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57-76.
  18.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양서원.
  19. 이채호, 고태순. (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49-70.
  20. 정효정. (2003). 보육교사의 조직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21. 조부경, 김정화. (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경험의 통합적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0-162.
  22. 조부경, 박은혜, 임승렬. (1998). 유아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에 반영된 '지식의 기초'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교육학연구, 36(3), 225-254.
  23. 최희양. (2001). 영유아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표갑수, 백선희. (1999). 보육인력(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57-96.
  25. 홍금자. (2002). 보육교사 양성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87-325.
  26.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7. Henderson, J. (1996). Reflective teaching: the study of your constructivist practices, NJ: Prentice-Hall, Inc.
  28. Kahlich, P. A, & Dorminey, J. J. (1993). Rol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57 020).
  29. Kerlinger, F. N. (1986).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 NY: CBS College Publishing.
  30. McKeown, B. and Thomas, D. (1988). Q Methodology. Newbury Park: Sage Pub.
  31. O'Loughlin, M. (1992). Engaging teachers in emancipatory knowledge constru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5), 336-346. https://doi.org/10.1177/0022487192043005003
  32. Ott, D. J., Zeichmer, K. M. & Price, G. G. (1990). Research horizons and the quest for a knowledge bas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B. Spodek & O. N. Saracho(Eds.).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3. Saracho, O. N. (1988a). An evalu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8, 81-101. https://doi.org/10.1080/0300443880380107
  34. Saracho, O. N. (1988b). A study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8, 43-56. https://doi.org/10.1080/0300443880380104
  35. Scottish Office. (2002). Early education and child care plans 2001-2004. HMSO: Edinburgh.
  36.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