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범철, 김윤희(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모델의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7, pp. 205-212.
- 김범철,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1999). 소양호 동.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동.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2(2), pp. 127-134.
- 김범철, 허우명, 황길순(1995). 도암호의 부영양화 실태. 한국육수학회지, 28(2), pp. 233-240.
- 김용재(1999). 덕동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LTSI에 의한 호소의 영양상태평가. 한국조류학회지, 14, pp. 161-167.
- 김자현, 서진원, 나영언, 안광국(2007). 용담댐 건설후 하류부 하천 생태계의 탁수영향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0(1), pp. 130-142.
- 김지환, 김영환, 이인규(1998). 충주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조류학회지, 13(3), pp. 339-354.
- 박정원, 이경락, 최재신, 김한순(2005). 임하댐의 탁수 형성 후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8(3), pp. 429-434.
- 오광철, 오희목, 이진환, 맹주선(1995). 대청호 식물플랑크톤의 일주성 수직이동. 한국하천호수학회지, 28(4), pp. 437-446.
- 오희목, 김도한(1995).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발생에 대한 단기적 예측. 한국하천호수학회지, 28, pp. 127-135.
- 이경락, 정원화, 김종민, 김영생, 최희진, 김한순(2008). 영천호에서 남조류 독소(microcystins)의 계절적 변동.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2), pp. 264-274.
- 이상화,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임인수, 허우명, 김재구, 김범철(2006). 도암호의 수질과 어류군집 특성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9(2), pp. 167-177.
-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2003). 대청호의 남조류 소화 발달과 환경요인 변화와의 상관 관계.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3), pp. 269-276.
- 윤석제, 박혜경, 신경애(2010). 한강 수계 주요 인공댐호의 식용플랑크톤 군집 동태.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2), pp. 917-925.
- 정준(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 허우명, 권상용, 김영길, 이원호, 임병진, 김범철(2006). 용담호에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3), pp. 366-377.
- 허인량, 박상균, 죄규열, 정의호(1995). 송천상류수계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3), pp. 175-181.
- 환경부(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 廣瀨弘辛, 山岸高旺 編(1981). 日本淡水藻圖鑑, 內田老鶴圃.
- 渡辺仁治(2005). 담수규조생태도감, 內田老鶴圃.
- An, K. G. and Jones, J. R. (2000). Factors regulating bluegreen dominance in a reservoir directly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2, pp. 37-48. https://doi.org/10.1023/A:1004077220519
- Figueredo, C. C. and Giani, A. (2001). Seasonal variation in the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phytoplankton in a tropical eutrophic reservoir. Hydrobiologia, 445, pp. 165-174. https://doi.org/10.1023/A:1017513731393
- Greenberg, A. E., Cleseeri, L. S., and Eaton, A. N.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ominotion of Water and Wasteworer, 18st ed. APHA AWWA WEF, Washington.
- Grover, J. P. and Chrzanowski, T. H. (2006).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lon in two wann temperate reservoirs: association of taxonomic composition with temperature. J. Plankton Res., 28, pp. 1-17.
- Kim, B., Park, J. H., Hwang, G., and Choi, K. (1997). Eutrophication of large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Korean J. Limnol., 30, pp. 512-517.
- Lampert, W. and Sommer, U. (1997). Limnoccology: The Ecology of Lakes and Streams. Oxford University Press.
- Lionard, M., Muylaert, K., Hanoutti, A., Maris, T., Tackx, M., and Vyverman, W. (2008). Inter-annual variability in phytoplankton summer blooms in the freshwater tidal reaches of the Schelde estuary (Belgium).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9, pp. 694-700. https://doi.org/10.1016/j.ecss.2008.06.013
- OECD(1982). Eutrophication of Water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Paris.
- Reynolds, C. S. (2006). The ecology phytoplankton. Cambridge Unvi. Press, London.
- Winder, M. and Schindler, D. E. (2004). Climatic effects on the phenology of lake processes. Global Change Biology, 10, pp. 1844-1856. https://doi.org/10.1111/j.1365-2486.2004.0084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