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on of Changes on Unit Plans of Condominium Apartments in Rural Area depended on Women's Spaces

수도권 신도시 근교 농촌 아파트 주거의 내부 공간구조 변화 - 주부인 여성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

  • 최병숙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5.06
  • Published : 2010.05.25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women's power in family to be related to Anbang, kitchen, dining room, and utility room planning in a unit plan of condominium apartment housing in rural area Data were collected 194 unit plans from 9 eastern regions of Kun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Anbang reflects the women's power on changing its space character into mater bedroom, the highest hierarchy in private zone, and planning a dress room in it. 2) Dining room and kitchen is openly centered on the unit plan, but kitchen is still only women's working space for family and agriculture depended on literature review. Dining space is not activated family interaction, so it is not different from urban apartment housing. However, its location and character are changed, and its hierarchy is relatively higher with women. Dining room and kitchen tend to plan visually separated after 2001, so its trend seems to establish women's territory at home. 3) Whole family can't be easy to access utility and back balcony close to kitchen, and these spaces are functionally separated for women's house work. This design trend seems to establish for women's area. 4) Finally, women's power seems to be effective in house working area including kitchen space depended on results. Also, these results from rural condominium apartment are similar to urban ones in previou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석, 김정아, 분양 자율화 이후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권 2, 2003, 74-77.
  2. 김강섭, 김석규, 이상정, 농촌지역 공동주택 농가의 공간이용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진주시 근교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농촌건축학회논문집, 6권 1호, 2004, 42-53.
  3. 김강섭, 이상정, 농촌지역 공동주택의 공간변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권 2호, 2004, 65-78.
  4. 김경순, 여성과 아파트 주거환경, 도서출판 건기원, 서울, 2002.
  5. 김숙자, 한국 여성의 법적지위 변천: 정부 수립 후 오늘까지 50년간의 법적 지위, 여성가족생활연구, 10권, 2006, 1-21.
  6. 나인혜, 아파트와 작가주택의 내부공간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7. 민양관, 조일환, 최효승, 농촌공동주택 단위공간내 주생활방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권 2호, 1999, 39-51.
  8. 박남희, 이준민, 브랜드 아파트의 평형별 평면계획 내용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3호, 2006, 53-62.
  9. 박정아, 강인호, 최병숙, 정미현, 장혜선, 대전지역 공동주택의 분양팜플렛에 나타난 계획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권 3호, 2008, 11-20.
  10. 방정훈, 오찬옥, 전면 2실형과 전면 3실형 아파트의 평면특성 및 만족도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권 3호, 2006, 19-30.
  11. 서병숙, 임정빈, 가정생활에 있어서 가족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10대 자녀를 둔 부부가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6권 1호, 1978, 51-70.
  12. 안태영, 가족구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주부의 영향력과 역할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3. 유옥순, 최병숙, 나포문화마을 주택의 평면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눈문집, 18권 5호, 2007, 23-32.
  14. 이상은, 주생활과 공간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조선시대 상류주택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5. 이춘욱, 이정호,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에 따른 주방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권 2호, 2009, 97-105.
  16. 정창무, 안지하, 이건수, 송소민, 이효준, 공동주택 공간구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3권 7호, 2008, 17-30.
  17. 최동식, 정무웅,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농촌공동주택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권 2호, 2000, 7-10.
  18. 최병숙, 전주시 아파트 주거의 평면적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권 3호, 2996, 102-110.
  19. 최병숙, 강인호, 박정아, 정미현, 장혜선,. 대전지역 아파트 단위주호 계획에 대한 거주자의 주거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권 5호, 2009, 31-40.
  20. 최병숙, 박정아, 여성관련 공간을 중심으로 본 서울지역 아파트의 공간구조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권 4호, 2009, 39-47.
  21. 최상인, 가족구매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부의 영향력 구조에 관한 연구: 경기, 구리, 미금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경희대경영대학원, 석사학위눈문, 1992.
  22. 최윤경, 주택평면에 나타난 여성의 사회공간적지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 1호, 2003, 81-88.
  23. 최윤경. 7개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사, 서울, 2003.
  24. 최은희, 공동주택 평형별 단위 평면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호 2003, 134-142.
  25. 최임주, 박인순,. 아파트 단위평면 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70-2000년대 부산지역에 건설된 아파트 평면의 각 실 면적비율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논문집, 10권 4호, 2008, 54-62.
  26. 최재석, 한국도시가족의 권력구조: 서울시 가족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14권 4호, 1971,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27. 최재필, 조형규, 박인수, 박영섭,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공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6호, 2004, 155-164.
  28. 통계청, 2008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보도자료 2008. 7. 3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