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264 to MPEG-2 Transcoding을 위한 효율적인 P-Frame 변환 방법

An Effective P-Frame Transcoding from H.264 to MPEG-2

  • 김기홍 (전남대학교 전산학과) ;
  • 손남례 (목포대학교 중점연구소) ;
  • 이귀상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 발행 : 2010.02.28

초록

MPEG-2가 발표된 이후 Digital-TV나 DVD등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 후 2004년도에 H.264가 발표된 이후 MPEG-2를 대체할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으로 각광받으며 IPTV나 DMB등의 방송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MPEG-2를 가장 많이 사용해 왔기 때문에 현재는 MPEG-2관련 장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장비들로는 H.264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H.264 to MPEG-2 트랜스코더를 제안한다. 또한 화질의 열화를 줄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직렬 화소 영역기반 트랜스코더(CPDT: Cascaded Pixel Domain Transcoder)구조를 이용하였고 변환속도를 높이기 위해 복호기에서 사용된 SKIP블록이나 INTRA 블록, 움직임벡터 등의 정보들을 재사용 한다. H.264의 가변블록의 움직임벡터들중 최적의 값을 선택하기 위해 수정된 경계정합알고리즘(BMA: Boundary Matching Algorithm)을 사용한다. 실험결과, MPEG-2 인코더의 'Full Search'와 비교하였을 때 PSNR측면에서는 0.1dB정도 감소되었지만, 부호화 시간에서는 약 66% 개선되었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화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연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fter the launch of MPEG-2, it is widely used in multimedia applications like a Digital-TV or a DVD. Then, After the launch of H.264 at 2004, it has been expected to replace MPEG-2 and services IPTV and DMB. As we have been used to MPEG-2 devices by this time, we can not access H.264 Broadcast with MPEG-2 device. So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transcode H.264 video into MPEG-2 form which can facilitate to display H.264 video with MPEG-2 device. To reduce the quality loss by transcoding, we use CPDT(Cascaded Pixel Domain Transcoder) structure. And to minimize processing time, SKIP block, INTRA block and motion vectors obtain from decoding process is employed for transcoding. we use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 to select only one from candidate motion vectors. Experimental results show a considerable improved PSNR with reduction in processing time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Gary J. Sullivan, Pankaj Topiwala, and Ajay Luthra, “The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 Standard: Overview and Introduction to the Fidelity Range Extensions,” SPIE Conference, 2004. https://doi.org/10.1117/12.564457
  2. S. Sharmat, K.R. Rao, “Transcoding of H.264 bitstream to MPEG-2 bitstream,” APCC 2007, pp.391-396, 2007.
  3. 신익경, “비디오 트랜스코더에서 움직임벡터를 이용한 효율적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기법 연구,” 석사학위 논문, 2003.
  4. 김동형, 정제창, “MPEG-2에서 H.264로의 트랜스코딩 기법,” 정보통신학회논문지, 30권, 7호, pp.706-715, 2005.
  5. Qiang Tang; Nasiopoulos, P.; Ward, R.;“Fast block size prediction for MPEG-2 to H.264/AVC transcoding,” ICASSP 2008, pp.1029-1032, 2008.
  6. Fernandez-Escribano, G.; Kalva, H.; Cuenca, P.; Orozco-Barbosa, L.; “Speeding-Up the Macroblock Partition Mode Decision in MPEG-2/H.264 Transcoding,”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pp.869-872, 2006.
  7. Hari Kalva, “Issues in H.264/MPEG-2 Video Transcoding,” CCNC, pp657 - 659, 2004
  8. J. Chu et. al., “H.264/MPEG-2 Transcoding based on Personal Video Recorder Platform,” ISCE 2005, pp.438-440, 2005.
  9. P. Kunzelmann, H. Kalva, “Reduced Complexity H.264 to MPEG-2 Transcoder,” ICCE 2007, pp.1-2, 2007. https://doi.org/10.1109/ICCE.2007.341433
  10. 손남례, 이귀상, “움직임벡터의 거리와 방향성을 고려한 H.264 에러 은닉 방법,”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4권, 1호, pp37-47, 2009.
  11. 손남례, 이귀상, “후보벡터 분류에 의한 영상 에러 복원,”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0권, 2호, pp.163-168, 2009.
  12. Gary J. Sullivan, “The H.264/MPEG4 Advanced Video Coding Standard and its Application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2006. https://doi.org/10.1109/MCOM.2006.1678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