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ONSTELLATION MAPS IN MT. TAEBAEK'S HARVEST CEREMONY FLAG

태백산 개천절 제의 깃발에 그려진 별자리 연구

  • Yang, H.J.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그룹)
  • Received : 2010.11.19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Gaecheonjeol is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when people hold a harvest ceremony. Nowadays, two representative harvest ceremonies of Korea are performed at Mt. Mari (摩利山) and Mt. Taebaek (太白山) on Gaecheonjeol (October 3rd). We study 28 flags with constellations appearing in the ceremony of Mt. Taebaek. These flags are lying in the outer of the circular stone wall during the ceremony. They represent an oriental heavenly star chart. We examine the shape, the connecting-pattern, the name, and the number of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and find several errors, such as, a wrong position, a typo of name, an irregular size, an omission, and so forth. Traditionally, the 28 oriental constellations are usu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has its own colour for each direction: Blue (E), Black (N), White (W), and Red (S). For the constellation flags in Mt. Taebaek, the colour of the flags is painted based on geographical directions, but the constellations are arranged followed by the direction of the celestial sphere. Thus, constellation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are counterchanged. Finally, we suggest some possible criteria for constellation map of the flags in this paper.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and CheonMunRyuCho (天文類抄) can be essential references for correcting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of Mt. Taebaek.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현, 2008, 太白山 天祭의 歷史와 祭儀 樣相, 제2회 고천문워크숍 프로시딩, 한국천문연구원, pp.32-67
  2. 김도현, 2009, 사료로 읽는 태백산과 천제, 강원도민일보사
  3. 김수길, 윤상철 역, 1993, 天文類抄, 대유당서적, p.287
  4. 김상혁 등, 2009, 조선과 중국의 보천가 연구, 한국우주과학회지, 26, 375 https://doi.org/10.5140/JASS.2009.26.3.375
  5. 박창범, 1998, 天象列次分野之圖의 별그림 분석, 한국과학사학회지, 20, 113
  6. 박창범, 2008, 개천절 일자 문제 고찰과 제언, 제2회 고천문워크숍 논문집, 한국천문연구원, pp.1-12
  7. 박창범, 양홍진, 2009, 고구려의 고분 벽화 별자리와 천문체계, 한국과학사학회지 31, 1
  8. 송두종, 2006, 天象列次分野之圖 星宿 比較 分析, 제1회 한국의 고천문학 및 천상열차분야지도 워크숍 논문집, 한국천문연구원, pp.41-42
  9. 안상현, 박창범, 유경로, 1998, 星鏡에 실린 별들의 同定, 한국과학사학회지, 18, 19
  10. 양홍진, 2008, 개천절에 남아있는 천문요소와 태백산 깃발 별자리, 제2회 고천문워크숍 프로시딩, 한국천문연구원, pp.68-82
  11. 양홍진 등, 2010, 태조본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 정밀측정 분석, 천문학회보, 35(2), p.85
  12. 유경로 엮음, 이순지 원저, 1986a, 天文類抄, 한국과학사 기술자료대계, 6권, 여강출판사
  13. 유경로 엮음, 남병길 원저, 1986b, 星鏡, 한국과학사기술자료대계, 6권, 여강출판사
  14. 이용복, 2006, 우리나라 별자리로서의 천상열차분야지도, 제1회 한국의 고천문학 및 천상열차분야지도 워크숍 논문집, 한국천문연구원, pp.19-23
  15. 장정룡, 1990, 태백산 천제-민족 永生을 위한 聖祭, 태백문화 4집, pp.139-143
  16. 장정룡, 1993, 태백산 천제와 향토축제, 태백문화 7집, pp.74-83
  17. 조선일보사, 1993, 集安 고구려 고분벽화, 조선일보사출판국, pp.36-41
  18. 조선총독부, 1941, 昭和十六年 刑公 第310號/事件番號 昭和16年 刑 第936號 재판 기록
  19. 최고은, 양홍진, 안영숙, 2010,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소주 천문도 비교 연구, 한국우주과학회보, 19(2), pp.42-43
  20. 최승순, 1993, 崇山意識과 太白山 天祭, 태백문화 7집, pp.63-73
  21. 특별기획전 고구려! 추진위원회, 2002, 특별기획전 고구려, p.106
  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604-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