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임상검체에서 Candida spp.에 대한 분리빈도

Isolation Frequency of Candida 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s

  • 신현성 (임상병리 연구실) ;
  • 박연보 (충남대학병원진단검사 의학과) ;
  • 신두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 Shin, Hyun-Sung (Laboratory Science Office) ;
  • Park, Youn-Bo (Department of Laboaratory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city Hospital) ;
  • Shin, Du-Si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0.10.12
  • 심사 : 2010.12.01
  • 발행 : 2010.12.31

초록

검체는 2005년 1월1일부터 2009년 12월31일까지 C 병원 진단 검사의학과에 의뢰된 환자의 임상검체 총 366,661예로부터 총 167,955 미생물이 분리되었고 이 중 6,517주의 Candida spp. 분리균을 자동화기기로 동정한 것을 후향적으로 처리 하였다. 배양균주는 smooth하고, 크림색이며, 약간 mucoid하고, 혼탁한 집락을 0.45% salin에 McFarland No 1.6-2.0되게 탁도를 맞춘 후 반응시약이 들어 있는 ID-YST card에 접종하여, VITEK II(bioMerieux Duham NC, USA)의 자동화기기에 넣어 동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ndida spp.의 분리율은 2005년도에 비하여 2009년이 1.9배 증가하였다. 분리빈도가 높은 Candida spp.는 C. albicans 56.4%, C. tropicalis 17.7%, C. glabrata 10.7%, C. parapsilosis 9.5%였고, Candida spp가 10%이상 분리된 검체는 객담 30.1%, 무작위소변 25.0%, 혈액 15.8%, 카테타소변 13.5%였으며, 7%이상 분리된 부서는 호흡기내과 20.5%, 신장내과 11.0%, 감염내과 10.4%, 응급의학과 10.0%, 혈액종양내과 9.6%, 외과 7.5%, 소화기내과 7.4%였다. Candida spp가 증가된 달은 7월이 10.6%였고, 가장 낮게 분리된 달은 2월이 6.1%였다. Candida spp.가 증가된 연령군은 70세 이상 군이 40.1%였고, 가장 낮게 분리된 연령군은 10대가 1.3%였고, 0-49세군(1.3-7.5%)대 50세 이상 군(16.7-40.1%)의 비교에서는 1 : 4.7로 50세 이상 군이 월등히 높았다.

A total of 167,955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366,661 clinical specimens. Among them, 6,517 strains of the Candida spp. were isolated from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in "C" hospital from Jan. 1, 2005 to Dec. 31, 2009. All clinical specimens were reviewed b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Candida by the method of retrospectiveness. From this, we got the some isolated pure cultured yeasts. We identified these yeast by the identification kit system of VITEKII and VITEKII-ID-YST card. The isolation frequencies of Candida spp. were as follows. 56.4%,of C. albicans, 17.7% C tropicalis, 10.7% C glabrata and 9.5% C parapsilosis. The isolated frequency of Candida spp. in 2009 was 1.9 times higher than that in 2005. The clinical materials showing over 10.0% isolation rate were in sputum (30.1%), random urine (25.0%), 15.8% blood (15.8%) and catheterized urine (13.5%) in Candida spp.. The clinical department of showing over 7.0% isolation rate were in pulmonary medicine (20.5%), renal medicine (11.0%), infection disease medicine (10.4%), critical care medicine (10.0%), hematooncology (9.6%), general surgery (7.5%) and gastrointestinal medicine (7.4%) in Candida spp.. In monthly analysis, Candida spp. were most friquency isolated in July (10.6%), but lowest one in February (6.1%). Candida spp. were most frequently isolated in patient of over 50 years old (16.7-40.1%) than those isolated from the patients under the age of 0-49 (1.3-7.5%).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영, 민경남. 1983. 진균알레르기. 대한의학협회지. 26(9): 799-803.
  2. 고경식, 권선희, 김병준, 김구엽, 서환조. 1995. 병원성 칸디다혈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감염 27(5):477-483.
  3. 고경식, 서환조. 1993. 병원성 진균혈증(Fumgemia)의 임상적관찰. 대한내과과학회지. 44(5):620-626.
  4. 김명철, 이경호, 차동수, 박주영, 고춘명. 1997. 건강보균자의 구강과 환자의 혈액배양 으로부터 분리한 Candida albicans의 병독인자 표현비교. 대한미생물학회지. 32(4):429-434.
  5. 김병수, 서순봉. 1976. 백선증의 균학적 및 임상적관찰. 대한피부과학회지. 14(4):325-334.
  6. 김병일, 김준명, 김응, 홍천수. 1989. 진 균혈증(Fungemia)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 잡지. 36(5):689-694.
  7. 김수남, 임성균. 1985. 피부칸디다증의 임상적및 진균학적고찰. 대한피부과학학회지. 23(3):314-320.
  8. 김영권, 김태운, 김신무, 김성권, 김승곤, 김영자, 김충환, 김봉철, 이건섭, 정경석, 이장호, 최양순. 2000. 임상진균학 제2판. 고려의학 서울. 167-185,
  9. 김정원, 노병인, 허원. 1973. 피부진균증의 임상적 및 균학적관찰. 대한피부과학회지. 11(3,4):139-146.
  10. 김종순, 원영호, 전인기, 김영표. 1992. 피부진균증의 임상 및 균학적관찰(1988-1990). 대한피부과학회지. 30(1):68-75.
  11. 김준명. 1999. 전신성 칸디다증, 대한의진균학회지. 제3차 심포지움. 26-28.
  12. 김태형, 윤신원, 이미경, 노병인. 2009. 국내 호흡기검체에서 Candida dubliniensis의 검색. 대한의진균학회지. 14(4):171-176.
  13. 김태형, 정대성, 이미경. 2007. Candida 종에 의한 병원획득성 요로감염에서 위험인자 분석. 대한의진균학회지. 12(3):156-162.
  14. 남용진. 1967. 토양내 진균류 및 Aspergillus sp.의 분포에 관한연구. 중앙의학. 13(1):83-98.
  15. 문현주, 이지범, 김성진, 이승철, 원영호. 2002. 피부진균증의 임상및 균학적관(1991-2000). 대한의진균학회지. 7(2):78-85.
  16. 박용춘, 유재일, 이영신 신종희, 김봉수. 2000. Candida albicans KNIH10으로부터 Enolase의 분리 및 면역진단의 응용. 대한미생물학회지. 35(2):141-147
  17. 서무규, 안규중, 노병인. 1999 표재성 피부 칸디다증. 대한의진균학회지. 4(2):98-103.
  18. 신운섭, 최선주, 양영철, 박수정, 박주영, 김수기, 이경호. 2009. Candida albicans의 단백질분해효소, 인지질분해효소 및 세포벽단백분획으로 면역시킨 생쥐에서의 칸디다증 방어효과. 대한의진균학회지. 14(1):9-15.
  19. 신형식, 백경란, 배현주, 정문현, 오명돈, 최강원. 1991. 칸디다혈증의 임상적 고찰. 감염 25(4):5257-263.
  20. 유희준, 천병남, 김수조, 손숙자. 1988. 선천성피부칸디다증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6(4):565-569.
  21. 원영호, 김승훈, 김성훈, 김영표. 1987. 최근10년간 피부진균증의 임상적 및 균학적 연구 (1976-1985). 대한피부과학회지. 25(6):753-760.
  22. 이길형, 김미란. 1998. 원내 칸디다 혈 증의 임상적 고찰. 감염 30(1):45-53.
  23. 이동경, 문기찬, 고재경. 2006. 표재성 피부진균 증의 임상 및 균학적 조사연구. 대한의진균학회지. 11(2):54-63.
  24. 이선화, 노병인, 장진요. 1983. 피부진균증의 임상적 및 균학적 관찰(제3보). 한국의과학. 15(4):265-271.
  25. 이시헌, 김상원, 방용준. 2002. 당뇨환자에서 구강내 칸디다균의 분포에 대한조사. 대한의진균학회지. 7(3):139-148.
  26. 이영헌, 나종희, 김도원, 전재복. 1992. 조갑판에 국한된 선천성 칸디다증으로 사료 되는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30(6):913-916.
  27. 이학규, 서성준, 김명남, 홍창권, 노병인. 1993. 표재성 피부진균증의임상적 및 균학적 관찰(제7보). 대한피부과학회지. 31(4):559-566.
  28. 임경진, 김진혁, 신실. 1978. 피부사상균증의 임상적 및 균학적 조사연구. 대한피부과 학회지. 16(6):435-442.
  29. 정진원, 이은정, 우준희. 2008. 칸디다뇨의 역학과 치료. 대한의진균학회지. 13(3):115-120
  30. 조해욱, 신동훈, 최종수. 1997. Ram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한 Candida 속의 분류에서 최적화조건의 검토와 그이용. 대한피부과학회지. 35(1):71-81.
  31. 홍창권, 노병인, 장진요. 1981. 피부칸디다 증의 임상적 및 균학적관찰. 한국의과학. 13(1):71-77.
  32. Abi-Said Dima, Elias Anaisis, OmrumUzun, Issam Raad, Helio Pinscowski, and Shahe Vartivarian. 1997. The Epidemiology of Hematogenous Candiasis Caused by Different Candida Species. Clinical Infection Diseases 24:1122-1128. https://doi.org/10.1086/513663
  33. Aly R, Berger T. 1996. Common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n patients with AIDS Cli Infect Dis, 22 : S128,
  34. 이동경, 문기찬, 고재경. 2006. 표재성피부진균증의 임상 및 균학적조사연구. 대한의진균학회지. 11(2):54-63.
  35. Kaffman C.A. 2005. Candiduria, Clinical Infection Diseases 41:S371-6. https://doi.org/10.1086/430918
  36. Kim, -S.-T. 1999. Candida Vulvovaginitis. Kor J Med Mycol. 4(2):91-97.
  37. Lundstrom, T. and Soel, J. 2001. Nosocomial Candiduria. A. Review Clinical Infection Diseases 32:1602. https://doi.org/10.1086/320531
  38. Murray Patrick R,, EllenJo Baron, James H, Jorgensen, Marie Louise Landry and Michael A. Pfaller. 2007. Man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Volum II, 9th edition ASM press, pp. 1721-1727.
  39. Murray Patrick R,, EllenJo Baron, James H, Jorgensen, Marie Louise Landry and Michael A. Pfaller. 2007. Man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Volum II, 9th edition ASM press, pp. 1762-1788.
  40. Murray Patrick R., Ellen Jo Baron, James H. Jorgensen, Michael A. Pfaller and Robert H. Yolken. 2003.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Volum I, 8th edition ASM press, Washington D.C. pp. 636-653.
  41. Odom, R.B. 1994. Common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J Am Acad Dermatol 31:S56. https://doi.org/10.1016/S0190-9622(08)81269-8
  42. 이동경, 문기찬, 고재경. 2006. 표재성 피부진균증의 임상 및 균학적조사 연구, 대한의진균학회지 11(2):54-63

피인용 문헌

  1. Distribution of Yeast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last Five Years vol.12, pp.9,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9.237
  2. Isolation Frequency Characteristics ofCandida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s vol.44, pp.2, 2016, https://doi.org/10.5941/MYCO.2016.44.2.99
  3. Study on Distribution of Yeast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for Six Year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vol.13, pp.9,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9.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