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Familiarity for Idiom, Gender Differenc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bilities of Idiom Comprehension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10.20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dioms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of idiom,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s. 50 idioms were divided familiar and unfamiliar by the survey. The subjects was 18 years old, 63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 the task. The task is about the idiom comprehension with 25 familiar idioms and 25 unfamiliar. And there investigated about the academic achievements on participan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ri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dioms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of idiom. Second,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dioms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gender.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dioms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ult of present study will be important data for Korean idiom education of foreigner.

본 연구는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관용어 친숙도를 조사하여 50개의 관용어를 친숙한 관용어와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에서 대학교 1학년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관용어 이해과제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첫째, 관용어의 친숙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있어 친숙한 관용어를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에 비해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있어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관용어를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용어 특성 이해, 관용어 교육 및 외국인 우리말 교육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M. A. Nippold, “Evaluating and enhancing idiom comprehension in language-disordered children.” Lang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2, pp.100-106. 1991. https://doi.org/10.1044/0161-1461.2203.100
  2. R. Owens,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pearson education. Allyn and Bacon. 2005.
  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9.
  4. 동아문화연구소, 국어 국문학 사전, 서울: 서울대학교, 1981.
  5. 김선정, 강현자, “한국어 관용어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단원 제시”, 이중언어학회 제32집, pp.36-56, 2006.
  6. 주경희, “속담과 관용어의 차이점” 국어국문학 130집. pp.83-108, 2002.
  7. 박세영, “관용어와 속담의 특성: 차이점을 중심으로” 강남어문 제10집, pp.273-306, 2000.
  8. 이진숙, “구문이해능력과 성별이 속담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 제36권, 제2호, pp.113-135, 2009.
  9. 성소연, 청각장애인의 관용어 이해능력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10. 김혜정,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속담 이해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2007.
  11. 조복희, 이주연, “후기아동의 속담이해능력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속담의 친숙도와 구체성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제28권, 5호, pp.19-36, 2007.
  12. 오소정, 속담이해능력의 발달: 학령기 아동,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2001.
  13. M. A. Nippold and F. S. Haq, “Proverb comprehension in youth: The role of concreteness and familiar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 pp.166-176. 1996. https://doi.org/10.1044/jshr.3901.166
  14. S. Kemper, “Inferential processing and the comprehension of idioms,” Metaphor and symbolic activity, Vol.1, No.1, pp.43-55, 1986. https://doi.org/10.1207/s15327868ms0101_3
  15. L. V. Hedges and A. Nowell, “Sex differences in mental test scores, variability, and numbers of high scoring individuals.” Science, 269, 41-45. 1995. https://doi.org/10.1126/science.7604277
  16. J. S. Hyed and M. C. Linn, The psychology of gender : Advances through meta-analysis(pp.1-13). Baltimore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17. 정혜승, 초등학생의 간접적 표현의 이해에 관한 연구; 은유와 속담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32권 pp.89-119, 2002.
  18. A. Feingold,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are disappearing”, American Psychologist, 43, pp.95-103, 1988. https://doi.org/10.1037/0003-066X.43.2.95
  19. M. A. Nippold and S. H. Fey, “Metaphoric understanding in preadolescent having a history of language acquisition difficultie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d in School, 14, pp.171-180, 1983. https://doi.org/10.1044/0161-1461.1403.171
  20. R. F. Lee and A. G. Kamhi, ".Metaphoric competenc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anguage Disabilities, 23, pp.476-482, 1990. https://doi.org/10.1177/002221949002300805
  21. J. Higham, J. Wegmann, and J. Woods, "Visual and verbal metaphors among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and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2, pp.25-35, 1999. https://doi.org/10.1016/S0021-9924(98)00027-6
  22. 이진숙,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특성 및 추론촉진과제의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23. 국제교육진흥원, 속담 100 관용어 100, 국제교육진흥원, 2002.
  24. 한국어세계화 재단, 한국어 교수법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어세계화재단, 2002.
  25. 문금현, 국어의 관용표현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6.
  26. 동아출판사, 우리말 돋움사전, 두산, 1995.

Cited by

  1. Relationship of the Ambiguous Idiom Comprehens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in School-aged Children vol.27, pp.5,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5.1395
  2. Characteristics of Idiom Comprehension in School Ag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vol.22, pp.2, 2017, https://doi.org/10.12963/csd.17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