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 교양강좌가 대학생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t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in the Liberal Arts Programs

  • 투고 : 2010.08.19
  • 심사 : 2010.09.14
  • 발행 : 2010.09.30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rt Therapy to be part of Liberal Arts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mbined with Art Therapy theory and with a practical part for students to have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development(ego-identit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Art Therapy course at N university. It was a two hour-course and was offered every week. The first 40 minutes of the class were used for explaining Art Therapy theory, and the last 80 minutes were given for practice.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index of ego-identity, the index of self-esteem and the index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used.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with SPSS 12.0, and a paired t-test was follow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subjectivity and future-confidence of students, which includes the sub-categories of self-identity. However, there was no effect found in the category of self-esteem. Comprehension, which is und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tegor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fter the program was done. Based o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rt Therapy as a part of the Liberal Arts programs, which incorporates a large number of students, can have a similar effect on people compared to the Group Art Therapy, which incorporates a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peop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희.이수연(2005)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연구 10(1), 189-202.
  2. 구상빈.정여주(2009)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위축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 9(1), 67-90.
  3. 구자경(2005)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의 대학교양강좌활용. 논문집 19, 129-149.
  4. 김경숙(2008) 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생들의 심리적안녕과 음악치유경험에 관한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희(2008) 자살위험 중학생을 위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자아존중 감, 자살위험성,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사회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기정.이정희(1999)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향상 집단상담의 효과연구. 서원대 학생생활연구 17, 17-37.
  7. 김동연(2001) 미술치료연수회 자료집. 한국미술치료학회 32, 3.
  8. 김문숙.조돈구(2007)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조형미술논문집 7(2), 221-234.
  9. 김원경.박정희(2001) 현실요법에 기초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체중조절과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4(2), 249-268.
  10. 김지영(2002)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경성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진(2001)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 성숙과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 369-393.
  12. 문선모(1980)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논문집 19호.
  13. 문성주(1991) Reasoner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누리(2005)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대령(2003)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게슈탈트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16. 박아청(2003)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3), 373-392.
  17. 박은희(2009)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하진(2009) 집단미술치료가 자원 군입대를 앞둔 후기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성정미(2009) 복교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게슈탈트 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 개발. 한남대 학제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20. 송명자.이현림(2008)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2), 269-291.
  21. 신혜정(2003)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내적통제성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영화.김혁곤(200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교육상담연구 13(1), 151-170.
  23. 유정숙(2006)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회복을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한남대 학제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24. 유혜신(2008)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숙재.이정화(2008)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이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 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7(3), 423-437.
  26. 이영애(2006)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서정신과학학회 9(1), 95-104.
  27. 이영옥.정여주(2006)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 치료가 청소년의 신체상과 자아상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16(2), 103-119.
  28. 이은진(2007)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55-76.
  29. 이은희.남선미(2002)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적용. 식물인간환경 5(3), 32-42.
  30. 이재화(2004)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주희.최명선.박희연(2009)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인간발달연구 16(2), 205-220.
  32. 이지혜(2009)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현정(2008)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 치료학회지 8(1), 69-90.
  34. 이황은(2009) 또래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임내하(2009) 집단미술치료가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조승희.최외선(2008)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미술치료연구 15(2), 317-338.
  37. 조인희.정여주(2009)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9(2), 57-77.
  38. 주은선.현수경(2005) 대학생들의 인간관계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대학생활연구 21, 23-40.
  39. 최외선.전미향(1996) 미술기법을 이용한 집단 상담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와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미술치료연구 3(2), 101-115.
  40. 최은영.박경(2008) 집단미술치료가 해외거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분노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8(2), 67-85.
  41. 최은희.주리애(2005)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변화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5(2), 107-121.
  42. 최정은.김성천(2006)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시설거주 가출 소녀의 자아존중감과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2), 23-52.
  43. 탁정미(2004) 대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4. 하창순(1998) 약물남용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한상철(2004) 또래상담자 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25(2), 85-99.
  46. 한윤경(2006) 한부모 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3(1), 49-72.
  47. 형정은(200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족지각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홍은주.박희석.김영숙(2008) 아동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청목출판사. 81.
  49. 황현정(2006) 대학생의 자기성장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서울신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황혜자.박현주(2004) 미술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학생연구 32, 77-102.
  51. Dignan, M. H(1965)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476-483.
  52. Erikson, E. H(1968) Identity: Youtb and crisis. NY: W. W. Norton.
  53. Heider, F(196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 New York: John Wiley. Counseling 2nd. Brooks/Cole.
  54. Marcia, J. E(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551-558.
  55. Oaklander, V(1997) The therapeutic proces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Gestalt Review 1(4), 292-317.
  56.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