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mbivalent Consumption of Cosmetics

화장품의 양면적 소비태도

  • Received : 2010.05.07
  • Accepted : 2010.08.3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by product type, and the differences in ambivalent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by ambivalent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s aged 20 plu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08, and 42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aired t-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by product typ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domestic high-priced brands of skincare products were selected most often, that foreign high-priced brands of base products and color products were selected most frequently, that domestic low-and medium-priced brands of hair products were selected most often, and that foreign low-and medium-priced brands of body products were selected most frequently. In particular, foreign high-priced brands of color products were most favored, followed by domestic low-and medium-priced brands. The subjects selected foreign high-priced brands, which are the most expensive, and domestic low-and medium-priced brands, which are the least expensive, at the same time. They displayed ambivalent consumption patterns. Secondly,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by ambivalent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were examined. Groups high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had a higher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than groups low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Keywords

References

  1. 최순화 이민훈 이동훈 (2002.09.24). 소비시장의 양면성.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10. 28, 자료출처 http:// www.seri.org
  2. LG 경제연구원 (2005). 2010 대한민국트렌드. 서울: 한국경제신문 한경 BP.
  3. 김주현, 이은영 (2007). 의류상품 구매행동에 나타나는 양면적 소비. 한국의류학회지, 57(2), pp. 172-189.
  4.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강한나, 서정희 (2006). 미혼여성의 화장품구매행동을 통해 본 소비양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7(2), pp. 1-16.
  6. 하수진 (2003). 해외 패션 명품 소비자의 세분화 및 양 면적 소비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7. 문희강, 추호정 (2008). 의복소비가치가 양면적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2), pp. 1-14.
  8. Snyder, C. R. & Fromkin, H. L. (1980). Uniqueness: the human pursuit of difference. New York: Plenum Press.
  9. Ba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 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March), pp.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10. 신혜진, 김주덕 (2007). 화장품 소비자의 연령별에 따른 구매 형태 및 성향. 한국미용학회지, 13(3), pp. 1130-1146 .
  11. 소규만 (1997). 여성의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4-65.
  12. 김숙례 (2001). 성인여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13. 이지영 (1999).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2-43.
  14. 정미숙 (2000). 여대생들의 피부관리와 화장습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8- 39.
  15. 이명희, 이은실 (2003). 화장품 구매성향과 구매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2), pp. 250-260.
  16. 현정희, 추태귀 (2005).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pp. 617-623.
  17.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3.
  18. 나수임 (2004). 직장여성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패션 트렌드선호경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 67-81.
  19. 남승규 (1995). 소비자 의사결정에서의 가치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2-92
  20. 성영준 (1998). 제품의 소비가치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 114.
  21. 이창수 (1997). 소비자의 선물구매에 따른 인지적 위험과 소비가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정보탐색행동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2-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