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반적으로 통행지체란 어느 도로구간을 정상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의 평균주행시간과 차량 정체로 인해 감속되는 차량의 평균통행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의미하고, 도로의 접속지점이나 병목지점을 통과하는데 발생하는 지체시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외국의 도시고속도로는 제한속도 80Km/h 이상의 고속화도로로서 흔히 출퇴근시간대에 유출입연결로의 접속영향권역내에서 출퇴근통행수요의 집중으로 교통정체를 겪고 있으나, 국내 도시고속도로는 제한속도 80Km/h이하의 고속화도로로서 출근시간대에 관계없이 유출입연결로 접속영향권역내 뿐만 아니라 본선구간에서도 극심한 교통체증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와는 다른 지리적 특성을 가진 도시고속도로의 유출입연결로 접속영향권역내에서 통행지체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Travel delay (TD) denote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unning time of vehicle with a normal speed and the travel time of vehicle with a reduced speed for traversing the same segment of roadway, and is sometimes used as a measure of time delayed in the junction or bottleneck areas of roadway. Urban freeways in the foreign countries are often suffering from traffic delay within the entrance and exit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 as a freeway with the speed limit of 80 km/h or higher only during the rush hours, but those in our country are especially experiencing severe traffic delay on the mainline segments as well as within the entrance and exit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 as a freeway with the speed limit of 80 km/h or less regardless of the rush hours. So,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s that could predict the travel delay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s of urban freeway hav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which differ from the expressway, and als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ravel delay predictive model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