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인(治人)의 차원에서 본 『대학(大學)』에서 『성학집요(聖學輯要)』로의 학문적 심화

Academic Enrichment from The Great Learning(大學) to The Essentials of Sagely Learning(聖學輯要) when looking at it in the dimension of Governing of Others or Governance of humankind (治人)

  • 투고 : 2009.08.25
  • 심사 : 2009.09.23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연구는 치인(治人)의 차원에서 중국 유학이 조선 유학으로 전변(轉變)하는 과정을 정돈한 것이다. 특히, "대학"의 재해석이자 학문적 심화인 "성학집요"를 분석하여 조선시대 "대학"의 수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대학"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제왕학(帝王學)이자 성학(聖學)의 기본교재였고, 율곡의 "성학집요"는 그것의 총결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율곡은 "성학집요"의 체제를 크게 다섯 편으로 구성하고, "대학"의 삼강령팔조목(三綱領八條目)을 적절하게 배치하였다. 이중 치인은 제3편 "정가(正家)"와 제4편 "위정(爲政)"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정가"는 "대학"의 제가(齊家) 내용을 세분화하여 실제로 가문에서 행해야 하는 핵심 사항을 명확하게 정돈하고 있고, "위정"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의 내용을 심화하여 시대정신의 인식 및 국가 경영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제3편 "정가"에서는 "대학"의 '제가(齊家)' 내용을 세분화하여 '효경(孝敬)', '형내(刑內)', '교자(敎子)', '친친(親親)', '근엄(謹嚴)', '절검(節儉)' 등, 실제로 집안에서 행해야 하는 핵심 사항을 명확하게 정돈하였고, 제4편 "위정"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의 내용을 심화하였는데, '용현(用賢)', '식시무(識時務)', '법선왕(法先王)', '안민(安民)', '명교(明敎) 등 시대정신의 인식과 국가 경영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제2편의 "수기(修己)"를 바탕으로 치인(治人)으로 나아가는 유학의 기본 체제를 잘 보존하면서도 상황에 맞는 실천 지침을 제시하여 학문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그것은 중국 유학보다 훨씬 풍부하고 심화과정을 거친 조선 유학의 특징을 담고 있다. 따라서 조선 민족이 지닌 인간과 학문, 정치의 특성을 이해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ut together the changing process of Chinese Confucian into Korean Confucian Thought in the dimension of Chiin 'Governing of Others. By analyzing 'Seonghak jibyo' which is reinterpretation of 'Daehak' and also academic enrichm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spects of acceptance of 'Daehak' in Joseon Period. 'Daehak' was the basic textbook for 'Emperorship Learning'(帝王學, 'Jewang Hak') as well as 'Sage Learning'(聖學, 'Seong Hak') over the whole Joseon Perio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Seonghak jibyo'- the Essentials of Sagely Learning compiled by Yulgok(栗谷) is the totalization of such learning. Yulgok organized the system of 'Seonghak jibyo' largely in five volumes and placed Samgangnyeong(三綱領, Three Doctrines or Essential Principles) and Paljomok(八條目, Eight Articles) of 'Daehak' in an appropriate manner. Among those, 'Chiin' was discussed intensively in the Volume Three, 'Jeonga'(正家-Family in Correct State) and also the Volume Four, 'Uijeong'(爲政 the king exercises government by means of his virtue). In the volume, 'Jeonga', Yulgok clearly arranged the core virtues for which the family is obliged to put into practice in everyday life having segmented the contents of the doctrine of Jega(齊家-to order family relationships) in 'Daehak', and, in 'Uijeong', Yulgok deepened the contents of 'Chiguk Pyeongcheonha'(治國平天下, ordering the state, bringing peace to the whole world) and presented consciousness on the spirit of contemporary as well as the practice of the state managements in an affirmative manner. These prove the validity of learning steps by presenting the practice guideline to fit the situation while well preserving the basic system of Confucian thought that leads to 'Chiin' (治人-'Governing of Others' or Governance of humankind) based on 'Sugi'(修己, the cultivation of the self). And such viewpoints feature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Confucian Thought which had been through more abundant enrichment process than Chinese Confucian. Therefore, Yulgok's thoughts expounded in The Essentials of Sagely Learning(聖學輯要, 'Seonghak jibyo') can be regarded as criteria to understand humanity and arts cherished by Joseon people, as well a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olitic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