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Rye

액상우분뇨와 콩과식물 혼파재배가 보리, 호밀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s of supplying different types of nitrogen sources as fertilizers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rye as winter forage crops, and ultimately done to get good quality of organic forages with higher fertilization of soil. For barley, N+P+K plo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nnual dry matter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than other plots. However, cattle manure plots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annual DM and TDN than P+K and non-fertilizer plots. Plots of 50%-cattle manure and mixed sowing with hairy vetch or forage pea were higher than only 50%-cattle manure plot, particularly,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fertilizer, and their crude protein (CP) yield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plots. Crud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P+K and 50%-cattle manure slurry plots than non-fertilizer and P+K plots, and plots of mixed sowing with hairy vetch or forage pea in application of 50%-cattle manure had higher CP content than other plots. ADF content was lowest in 50%-cattle manure+forage pea plots, but highest in 100%-cattle manure plots. NDF content was lowest in legumes-mixed sowing, but highest in 100%-cattle manure plots. TDN content was the highest in forage pea plots, and plots of 50%-cattle manure and legumes-mixed sowing had high RFV, but cattle manure plots rich in ADF and NDF content had the lowest TDN and RFV. For rye, plots of 50%-cattle manure+hairy vetch mixed sowing, and N+P+K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annual DM, CP and TDN than other plots except for cattle manure. DM productive efficiency to nitrogen fertilization was markedly higher for cattle manure plots than for chemical fertilizer. This tendency was more conspicuous in plots of 50% cattle manure+legumes-mixed sowing. CP content was higher for N+P+K plot than for all plots, and plots of 50%-cattle manure + legumes-mixed sow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plots. On the contrary, forage pea-mixed sowing plot had the lowest ADF and NDF, but TDN and RFV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ther plots. Grass crop cultivation together with legumes by applying livestock manure to soil may lead to higher palatability of livestock, and better quality of forage. Furthermore, cattle manure application increased production yield per ha and CP contents. Thus, when applying forage crops produced by cattle manure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to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it was conceived that forages produced might become a substitute for foreign organic grain as protein sources.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와 호밀의 질소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무기태 질소, 가축분뇨 및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액상우분뇨 50% 시용구,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보리의 연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비한(NPK) 구에서 ha 당 각각 7.3과 4.6톤을 나타내어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1과 4.4톤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PK) 구와 무비구 보다 높았다(p<0.05). 한편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헤어리베치 혹은 Forage pea를 혼파한 구는 각각 6.4와 4.0 톤 및 6.3과 4.1톤/ha로 단지 액상우분뇨 50% 시용구(6.1과 4.0톤/ha)보다 높았고 특히 무비구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단백질(CP) 수량은 각각 0.67과 0.53톤/ha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높았다. 보리의 조단백질 함량은 NPK 구(6.8%)와 액상우분뇨 50 %(50kg N/ha) 시용구($6.2{\sim}10.4%$)가 무비구 (5.7%)와 PK 구(5.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이러한 경향은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를 혼파한 구가 각각 10.4와 8.5%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ADF와 NDF 함량은 액상우분뇨 50% + 콩과작물 혼파구가 가장 낮았고 TDN 함량과 RFV는 액상우분뇨 50% 시용구 혹은 콩과작물 혼파구가 높았다. 호밀의 연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액상우분뇨 50%(50kg N/ha)시용에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구와 NPK 구에서 ha 당 각각 8.0, 0.5 및 4.5톤 그리고 7.8, 0.6 및 4.5톤을 나타내어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각각 $6.9{\sim}7.3,\;0.4{\sim}0.5$$3.9{\sim}4.2톤/ha$)를 제외하고는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질소시비에 따른 건물생산효율은 화학비료 시비구(12.4kg DM/kg N) 보다 액상우분뇨 시용구($13.7{\sim}41.8kg$ DM/kg N)가 월등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호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NPK 구가 7.6%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고 다음으로 액상우분뇨 50% 시용 + 콩과작물 혼파구가 $6.3{\sim}6.4%$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반대로 ADF와 NDF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각각 39.8과 66.0%로 가장 낮았으며 TDN 함량과 RFV도 각각 57.5%와 81.6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유기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덕. 김수곤. 권찬호. 2004.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비교. 동물자원지. 46(3): 437-442.
  2.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 동계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비교. 한초지 20(3): 193-198.
  3. 이인덕. 이형석. 2006a.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파종유형별 사초의 건물수 량 및 가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07-214.
  4. 이인덕. 이형석. 2006b. 대전지역 추파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49-256.
  5. 이효원, 2007. 춘계답리작 토양에서 두과의 질소고정과 이의 화본과로의 이동. 한초지 27(3): 167-172.
  6. 이효원. 김원호. 박형수. 고한종. 김수곤. 2005. 질소시용 수준이 베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베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1): 1-6.
  7. 이효원. 박형수. 2002.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한국 유기농업학회 10: 51-63.
  8. 조익환. 2008. 보리와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 료가치의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2): 219-230.
  9. 조익환. 윤용범. 박웅렬. 황보순. 이성훈. 이주삼. 2008.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 의 단, 혼파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초지조사료지. 28(4): 323-330
  10. 지희정. 주정일. 이희봉. 2007. 유기물 함량이 총체보리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 향. 한초지 27(4): 263-268.
  11. 황경준. 박형수. 박남건. 고문석. 김문철. 송상택. 2006.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 용이 사료작물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4): 293-300.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Chapman, S. R. and L. P. Carter. 1976. Crop production principles and practice. W. H. Ferzman and Co. Francisco. pp. 80-90.
  14. Drew, Elizabeth A., Vadakattu VSR. Gupta and David K. Roget. 2005.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nitrogen fixation congress. pp. 162-164.
  15.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16. Jo, I. H. 1989. Wirksamkeit der mineralischen Stickstoffdungung auf Ertrag und pflanzenbestand des Grunlandes im osterreichischen Alpenraum. Diss. Univ. Bodenkultur. Wien.
  17.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18. Nahm, K. 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19.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T. Agric. Sci. Camb. 98: 71-72.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41113
  20. Reid, J. T. and Jung, G. A. 1965. Factors affecting intake and palatability of forages for sheep. Proc. 9th. Int. Grassl. Cong. 36: 487-496.
  21. SAS. 2005.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 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2. Trenbarth, B. R. 1974. Biomass production of mixture. Adv. Agron. 26: 177-210. https://doi.org/10.1016/S0065-2113(08)60871-8
  23. Whitehead, D. C. 1995. Grassland nitrogen. CAB INTERNATIONAL UK. 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