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tion of children' five emotions with cardiovascular reactivity parameters

심혈관계 생리반응을 이용한 아동정서 구분

  • Jang, Eun-Hye (Department of Psychology, 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Hwa (Department of Psychology, 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hn, Sun-Ju (School of Social Work,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 Park, Ji-Eun (Department of Psychology, 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hn, Jin-Hun (Department of Psychology, Brai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장은혜 (충남대학교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 이경화 (충남대학교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 손선주 (텍사스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지은 (충남대학교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뇌과학 연구소)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ardiovascular reactivity parameters serve as good indicators in identifying differential emotion in children. The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five emotions(i.e., happiness, sadness, anger, stress, and boredom), thus, study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a combination of music, color, stories, and dolls to induce complex emotions. During the experiment, corresponding cardiovascular reactivity in response to the conditioned stimuli were recorded on phys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HR, RSA, HRV, HF HRV, LF HRV, and FPV. After the cardiovascular reactivity responses were measured, participants rated on the types and intensity of emotions they had experienced during the emotional stimuli exposure. Results on psychological response show that four emotions except for stress were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induced participants by emotional stimuli. Findings of physiological responses suggest that, except for RSA, all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ve emotions.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emotions can be measured and differentiated by cardiovascular reactivity, or in other words, emotion specific responses have the ability to distinguish different emotions in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정서 유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유발된 다섯 가지 정서(기쁨, 슬픔, 분노, 스트레스와 무료함)에 따른 아동의 심혈관계 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아동에게 음악, 색채, 심상을 유발하는 이야기, 인형으로 구성된 복합자극을 제시하는 동안 이들의 심혈관계 반응을 측정하고, 자극에 대한 적합성(유발된 정서의 유형)과 효과성(유발된 정서의 강도)을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심혈관계 생리반응 변수는 심박수, 호흡주기 관련 심박률 변화, 심박률 분산, 심박률 분산의 고주파수 성분, 저주파수 성분과 혈류량이었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유발하는 자극을 제외한 네 가지 정서 유발 자극은 아동에게 각 정서(기쁨, 슬픔, 분노와 무료함)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유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흡주기 관련 심박률 변화를 제외한 모든 심혈관계 지표에서 정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에 따라 특징적인 심혈관계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는 심혈관계 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정서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