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락 지역의 사회적 중간성 변화 -경상남도 촌락의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을 중심으로-

The Changes of Social Spatiality in Rural Areas: Focusing on Popula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Territorial Assets in Gyeongnam Provincial Villages

  • 심광택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Sim, Kwang-Taek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논문은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의 관점에서 공간적 경계를 넘나들며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를 밝히고 있다. 촌락 공동체의 인구 특성과 농업 활동을 토대로 촌락사회의 미래를 예상하면,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과 합천군 초계면 하남마을에서는 앞으로 촌락 주민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농업 경영의 특성화 및 대규모화가 진행될 것이다. 외지인의 유입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합천군 덕곡면과 율지마을은 통영시 욕지면 유동마을에서 이주민과 토착민 간의 상호보완적 관계와 공동체 의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촌락 공동체가 영역 자산을 활용하여 삶터(교육 문화 공간)와 일터(경제활동 공간)로서 촌락의 공간적 기능을 재생시키려는 노력이 사례 지역의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 현상으로 시련을 맞이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hanges of social spatiality in rural areas as seen on a sloping scale in referenc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territorial assets. Guessing from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ies and farming activities in Hwangsan village of Uichon-Myeon, Geochang-Gun and Hanam village of Chogye-Myeon, Hapchon-Gun, it will become a society characterized by super-aged intensification and large-scale crop cultivation. Deokgok-Myeon and Yulji village of Hapchon-Gun are required to intake outside residents. They have to understand the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becom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residents and relocated people in Yudong village of Yokji-Myeon, Tonyoung-Si. Due to a decreasing population and the phenomena of the 'super-aged', the efforts to revive the spatial function as a living and working space while utilizing territorial assets could be challenged in these case study reg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상남도, 2001, 2000년 기준 사업체 기초통계 조사보고서
  2. 경상남도, 2006, 2005년 기준 사업체 기초통계 조사보고서
  3. 고선영, 2008,'농촌체험관광 마을의 장소 자산과 유형: 경기도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사례로,'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 418-435
  4. 구인환, 2004, 우리 고전 다시 읽기 난중일기, 신원문화사
  5.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6,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한국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구상-, 제이플러스매드,336-359
  6. 김부성, 2009,'고령군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1), 36-52
  7. 김성귀,홍장원,이성우,최지연, 2007,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살기 좋은 어촌, 가고 싶은 바다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나승만,김준,신순호,김창민,유철인,이경엽,김웅배,이준곤, 2003, 다도해 사람들-사회와 민속-,경인문화사, 53-80
  9. 김현호, 2002, '장소 판촉과 장소 자산,' 공간과 사회,17,한울,61-82
  10. 박규택, 2009,'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사회,역사 구성주의 관점,' 한국민족문화, 33, 159-183
  11. 박삼옥,박기호,손일,유근배,박수진,최종남,이기석,조영국,허우긍,김인,유우익,양보경,이정만,최병두,안영진,주성재, 2004,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 탐색(개정판), 한울, 19-50
  12. 박재길,이동우,송미령,박시현,이규천,성주인, 2002, 도,농 통합형 정주기반 구축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 국토연구원
  13. 송미령,김용렬,성주인,박주영,허윤진, 2007, 살기 좋은 농촌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1/2차 연도),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안종현, 2007, '주민 참여에 의한 농촌관광 마을 만들기:장흥군 진목마을 사례로,'한국경제지리학회지,10(2), 197-210
  15. 윤아영, 2006,'소도시 거창에서 연극 공연이 성립하고 발달하는 과정,'지리학논총, 47, 65-100
  16. 이두현, 1979,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7. 이영기, 2001, 초계 대광대 탈놀이, 합천문화원
  18. 임석회, 2007, '영역 자산의 장소 판촉과 향토 축제의 유형-경북 지방을 사례로-,'한국지역지리학회지,13(3), 271-289
  19. 장학봉,Thomas Grigalunas,한경남, 2004, 바닷모래 채취의 경제,환경적 통합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Ⅱ)- 생물 경제학적 모형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전종한, 2005,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 사례-,'대한지리학회지, 40(6), 613-630
  21. 정근식,김준, 2004, 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 경인문화사
  22. 정치영, 1999, '경상남도의 촌락,'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상남도의 향토문화(상), 421-476
  23. 정현주, 2008,'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지, 43(6),894-913
  24. 정형호, 2004, '밤마리오광대 탈놀이가 영남 지역 탈놀이에 미친 영향,'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합천군추진위원회, 합천군 덕곡면 율지리 조사보고서
  25. 조영제, 2007, 옥전 고분군과 다라국, 혜안
  26. 최병두,서태열,권정화,김덕현,이희열,이상율,백영기,이철우,정수열,임석회,신용철, 2008, '지리학의 개념과 연구 주제의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 인문지리학 개론, 한울, 15-38.
  27. 통계청, 2001, 2000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제2권 시,도편16-15 경상남도
  28. 통계청, 2006, 2005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제4권 시,도편16-15 경상남도
  2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상남도의 향토문화(상), 향토사,201-252
  30. 해양수산부, 2004, 해사 채취의 친환경적 관리 방안 연구(1) 중간보고서
  31. 森川洋, 2006,' テリトリ一およびテリトリ一性と地域的アイデンティティにする硏究,'人文地理, 58(2),145-165
  32. 山田正浩, 2006, '慶尙南道地方における人口動と村落,農業-アンナムコルと水谷面の事例を中心に,'地理學報告, 103, 26-40
  33. Brown, D. F., 2007, The spatial and temporaldimensions of a rural landscape: the YucatecMaya k'ax, The Canadian Geographer, 51(1),91-108 https://doi.org/10.1111/j.1541-0064.2007.00167.x
  34. Clark, J. and Jones, A., 2008, The Spatialities of Europeanisation: territory, government and power in 'EUrop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3(3), 300-318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8.00309.x
  35. Starr, H., 2005, Territory, proximity, and spatiality: the geography of international conflict,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7, 387-406 https://doi.org/10.1111/j.1551-2916.2005.00506.x
  36. http://www.kift.or.kr
  37. http://www.kosis.kr
  38. http://hanam.invi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