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굿의 마임 - 서울굿을 중심으로 -

Mime of Mudang gut - based on Seoul gut -

  • 투고 : 2008.12.26
  • 심사 : 2009.01.28
  • 발행 : 2009.02.28

초록

이 글은 무당굿에서 마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고찰한 글이다. 실제로 무당굿은 마임이 중심이 될 수 없고 마임적 요소만이 활용된다. 따라서 마임을 중심에 두고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무당굿의 또 다른 의미망을 도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먼저 무당굿의 구성 요소를 살폈다. 하나의 굿판은 다양한 여러 요소들이 결합된 것이다. 신을 몸에 실은 무당은 재가집을 향하여 굿을 하며 공수를 주고, 악사는 악기로 음악을 담당하고 장구잽이는 장구로 굿을 지휘한다. 굿상에는 다양한 의미의 음식이 있어 신령을 대접하고, 무당은 굿거리의 성격에 따라 무복을 바꿔 입고 무구를 번갈아 들면서 굿을 진행한다. 시봉자와 마당쇠, 공양주는 굿판의 원활한 진행에 도움을 주는 존재이다. 다음으로 무당굿을 연행하는 무당의 연행양상을 고찰하여 두 가지 의미망을 도출했다. 첫째, 일반적인 굿거리에 등장하는 상위 신령은 음악에 맞춰 마임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굿청에 들어온다. 이때 상산장단, 굿거리 장단 등이 사용되고 신명이 나 뛸 경우에는 당악 장단을 사용한다. 둘째, 그러나 뒷전에 등장하는 하위 신령은 음악 장단 없이 마임으로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동작과 표정으로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낸 후 굿을 진행한다. 따라서 서울굿판에서 마임은 신령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매우 신성한 연행 요소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무당굿 연행방법을 언술과 동작으로 나눈 후 동작에서는 마임이 주로 활용됨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마임을 활용한 굿거리를 살폈다. 이를 통해 진오기굿에서는 망자를 저승으로 보내기를 반복적으로 보여줄 때 마임을 활용했고, 일반적인 굿거리에서는 액을 물리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마임을 활용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is considered how to utilize mime in the mudang gut. Actually, mime can't be the crux of mudang gut, and the only factors of mime is util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another nets of meanings in Mudang gut, not to study mime. First of all, I surveyed the constituent factors of mudang gut. One gutpan is combined with various factors. As a shamans(mudang), a musician, a jang gu player, a gongyangju(taking charge of food), a sibongja(helper for a shaman), and madangsoe (an under servant), they played their roles. The gut consists of equipment, food, clothes, music and dance. Next, I derived two nets of meaning out of considering a mudang gut performance of mudang (shaman). First, god in a general gutgeori appears expressing their existence by using mime with the music. Second, the following god appears expressing themselves using only mime without music. After showing who he is through action and facial expression, he continues to play a gut. Accordingly, mime of seoul gutpan plays a role to reveal the existence of god. Also, I divided the way of performing mudang gut into language performance and motions and then suggested that mime was mainly used in the motions. I surveyed a gutgeori using mime in the concrete. Through this, I suggested that the shaman used mime, when sending a deadman to the next world in a Jinogi gut. I suggested that mime was utilized repeatedly at the process of repelling the misfortune in a jaesu gu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