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대생의 흡연에 대한 위험지각도

The Degree of Female Undergraduates' Perceived Risk of Smoking

  • 발행 : 2009.09.28

초록

이 연구는 여대생의 흡연에 대한 흡연위험지각도를 파악하여 여대생의 금연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경기도에 소재한 S대학 여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8일부터 2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18문항, 흡연위험지각도 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대생들의 흡연위험지각도에 대한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4.32점으로, 흡연위험지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경제수준별로는 경제수준이 낮은 여대생일수록 흡연위험지각도가 높았으며,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7.14, p<.01). 세째. 본인의 흡연 여부별로는 비흡연 여대생이 흡연 여대생보다 흡연위험지각도가 높았으며, 흡연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43, p<.05). 네째. 흡연하는 친구 수별로는 흡연하는 친구가 1명 있는 여대생이 흡연위험지각도가 가장 높았고, 3명 이상 있는 여대생은 흡연위험지각도가 낮았으며, 흡연하는 친구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3.14, p<.05). 다섯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른 흡연위험지각도는 '불만족하다'는 여대생이 흡연위험지각도가 가장 높았고, 만족,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4.81 p<.01).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들에게 금연의 중요성과 금연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gree of female undergraduates' perceived risk of smoking and utilize them as foundational data for educating them to quit smoking. Thereupon, it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survey from May 18 till 25 of 2009 to 231 female undergraduates attending S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he study tool contains 19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8 of the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1. According to the result on the degree of female undergraduates' perceived risk of smoking, the degree was shown high as the average was 4.32 among the perfect score of 5; thus, the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was high. 2. In terms of the household economic level, female undergraduates with the lower economic level indicated the higher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economic level (F=7.14, p<.01). 3. In regard of whether the female undergraduate smokes or not, the non-smoker perceives the degree of risk of smoking more highly than the smoker doe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y whether they smoke or not (t=-2.43, p<.05). 4. About the number of friends who smoke, female undergraduates with one smoking friend show the highest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Those haying three or more smoking friends indicate the low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number of smoking friends they have (F=3.14, p<.05). 5.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by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female undergraduates expressing 'dissatisfaction' show the highest degree of perceived risk of smoking while 'satisfaction' indicates the average level.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4.81, p<.01).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based on this research which can allow female undergraduates to team the importance of quitting smoking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for it.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숙희, "우리나라 성인여성의 흡연실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http;//www.kash.or.kr
  3. O. Vriz, "Smok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cardiovascular risk in young women than in men, Journal of Hypertention," Vol.15, No.2, pp.127-134, 1997. https://doi.org/10.1097/00004872-199715020-00002
  4. 박용주, 보건소식, 통권, 127호, pp.25, 1999.
  5. A. Leone, "Cigarette smoking and health of the hear," Journal of R Society Health, Vol.115, No.6, pp.354-355, 1995. https://doi.org/10.1177/146642409511500605
  6. M. Penner, M. "Economic incentives to reduce employee smoking:A health insurance surcharge for tabacco using state of Kansas employees," Psychological Review, Vol.4, No.1, pp.191-215, 1989.
  7. G. Jones, M. Riley, and T. Dwyer,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growth, and bone mass in prepubertal children,"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Vol.14, No.1, pp.146-151, 1999. https://doi.org/10.1359/jbmr.1999.14.1.146
  8. J. E. Fielding, "Smoking:Health effects and contro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13, No.8, pp.555-556, 1985. https://doi.org/10.1056/NEJM198508293130906
  9. E. Susan, R. N. Hankinson, ScD., A. Graham, M. D. Colditz, E. JoAnn. M. D. Manson, and E. Frank, M. D. Speizer, Health women, Health lives, Fireside Company, pp.320-348, 2001.
  10. 김애경, "건강행위에 대한 한국 청소년의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1호, pp.50-54, 1995.
  11. 김신정. 안은숙, "여대생의 건강개념과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264-274, 1997.
  12. 김조자, 전산초, 최영희, 성인간호학(상), 수문사, 1992.
  13. J. S. Kendrick, R. K. Merritt, "Women and smoking:An update for the 1990s," American Journal of Obsterics and Gynecology, Vol.175, No.3, pp.528-535, 1996. https://doi.org/10.1053/ob.1996.v175.a74919
  14. D. Hines, A. C. Fretz, and N. L. Nollen, "Regular and occasional smoking by college students:personality attributions of smokers and nonsmokers," Psychological Reports, Vol.83, pp.1299-1306, 1998. https://doi.org/10.2466/PR0.83.7.1299-1306
  15. 명현경, "여대생의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과 흡연 위험지각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남궁후길, "흡연에 관한 위험지각도가 담배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7. 박명윤, 청소년보호법과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대책, 한국청소년개발원, 1997.
  18. 장영희, "청소년의 음주흡연과 학교생활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9. 김선희, "청소년들의 흡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0. 김순희,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음주, 흡연실태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1. 김상철, 금연대책, 대한의학협회지, 제30권, 제8 호, pp.853-857, 1987.
  22. 서일, "한국인의 흡연률과 그 역학적 특성", 한국역학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31-137, 1988.
  23. 김경선, 이지원, "여대생 흡연과 환경적 요인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6 권, 제2호, pp.185-197, 1999.
  24. 이계온, "여고생의 흡연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25. 곽정옥, "일부 여대생의 흡연실태와 그 관련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20-138,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