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도시와 농촌 지역 구분 기준 연구

  • 강대구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농업교육과)
  • Received : 2009.08.04
  • Accepted : 2009.09.1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objective is to fi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etween urban and rural, and to classify the urban and rural area all the country in Korea. For the research objectives, reviews of related literature and statistical yearbooks were used for finding criteria and analysing data.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some indicators were selected in views of rurality and urbanity, and gathered the data from statistical yearbooks. And factor analysis was used to find first and second factor for classifying region. Six factors as a city surrounding(36%), non-farmer household population ratio(28.1%), cultivated acreage(12.48%), agricultural production surrounding (12.40%), the farm family number change(5.58%) and household number rise and fall(5.54%) were finding. And rurality factors were cultivated acreage, agricultural production surrounding, the farm family number change and household number rise and fall, and urbanity factors were city surrounding and non-farmer household population ratio.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actor loaded amount, four typ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followed.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희, &윤순덕. (2007). 노인복지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443-454.
  2. 건교부, & 국토연구원. (2002).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3. 김경량, 김지용, &백종례. (2004). 농촌마을의 유형화를 통한 발전방향: 강원도 농촌 마을을 중심으로. 경영과학연구, 30집, 209-225.
  4. 김태환. (2004). 지역잠재력에 기초한 지역유형 구분 및 특성 연구. 대한지리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5-15.
  5. 채미옥, & 지대식. (2002).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6. 고영구, & 김광남. (2003). 충북지역 소도읍 육성방안. 충북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7. 박경훈, 정성관, & 최원명. (2000). 도농통합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지역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2), 37-47.
  8. 박시현 등. (200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토연구원.
  9. 박창석, 임승빈, & 김용태. (1999). 농촌마을계획을 위한 마을 유형 및 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4(4), 61-70.
  10. 성주인, & 송미령. (2003). 지역유형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3), 1-22.
  11. 송두범. (1999). 충청남도 조건불리지역실태 및 개발전략. 충남발전연구원.
  12. 송두범, & 오남현. (2001). 농촌지역사회의 유형구분 및 특성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3(3), 107-120.
  13. 송미령, 박시현, 이규천, & 성주인. (2002).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C2002-37.
  14. 신영철, 이유근, & 황용진. (1992). 면단위농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서부경남을 중심으로. 진주농전대 논문집 31집, 79-88.
  15. 신호철 등. (1993). 농촌마을 및 주택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농어촌연구원.
  16. 양원식, 김영주, 고영배, & 윤용철. (2009). AHP를 이용한 농촌지역유형구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43(1), 61-71.
  17. 왕인근. (1983). 현대의 농촌사회학. 박영사.
  18. 엄수원. (1996). 地域計劃樹立을 위한 地域類型區分에 관한 硏究-한국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복지정책, 10집, 181-203.
  19. 윤성수, & 주호길. (2005).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충청북도 읍면단위 농촌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 분석. 농촌계획, 11(2), 35-41.
  20. 윤성순, & 윤대식. (2003). 장기공간계획을 위한 지역유형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6), 139-148.
  21. 이상영, 김은자, & 김영. (2005). 조건불리지역선정을 위한 농촌지역유형분류. 농업경영.정책연구, 32(3), 548-558.
  22. 이성우, 권오상, & 이호철. (2003). 농촌개발을 위한 역동적 지역사회개발모형 연구. 농촌사회, 13(1), 7-49.
  23. 이상학. (1995). 마을단위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농업경제연구, 36, 129-143.
  24. 이원섭. (2003). 국가자원의 지역간 차등화를 위한 지역유형구분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6, 19-35.
  25. 이정환. (1987).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 농촌경제, 10(4), 141-159.
  26. 이종상(2002). 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4), 191-199.
  27. 이종식, & 한근배. (1996). 부산시 공시지가분포와 지역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1(6), 53-65.
  28. 임석희. (2005).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11-232.
  29. 임승빈, 신지훈, & 윤희정. (2002). 생태.문화자원에 기초한 농촌마을 유형구분 및 문제점. 농촌계획, 8(1), 77-84.
  30. 임형백, & 이성우. (2005).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서울대출판부.
  31. 정기환 등. (1999). 농촌인구과소화지역의 유형별 특성과 대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정안성. (1990). 농촌개발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정안성, & 이동호. (1989). 농촌지역계획수립을 위한 지역분류-전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논문집 31집(인문사회과학편), 1-12.
  34. 정안성, & 이동호(1988). 다변량분석법에 의한 지역농업의 유형화-전북농촌지역에의 적용. 농업경제연구, 29집, 25-42.
  35. 정하우, 박병태, 김성준, & 최진용. (1995). 농촌지역 토지이용계획 기법 연구. 농촌계획, 1(2), 33-42.
  36. 조봉운, & 김정연. (2004). 충청남도 지역구조 변화분석과 대응방안. 충남발전연구원 기본과제 2004-04.
  37. 조영국. (2004). 수도권농촌의 기능변화와 지역구조.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139-159.
  38. 지방자치법 및 시행령. (2009). http://www.lawnb.com/lawinfo/link_ view.asp?cid=373EFE15859544BE96E338BDC43B151C|L.
  39. 최양부 등.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