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quiry into the Ancient Jewelry of Ancient Egypt Myth

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타난 고대 장신구 연구

  • 최진 (단국대학교 조형예술학과)
  • Published : 2009.07.28

Abstract

The spiritual world of the ancient times has precious values which forms the origin of human thought.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ancient people's particular views on man in their spiritual world reflected through gods' ornaments by studying the human race's fundamental spiritual world gradually disappearing due to science development from Egyptian gods' ornaments expressed symbolically in Ancient mythical components. Although evidently ornaments in Egypt served for decoration, the basic purpose was exorcism as amulets, a shamanistic purpose to be protected from mystical and hostile powers by carrying them on the vulnerable spots of the body. As this aspect indicates, the human race tried to solve their self-insoluble transcendental issues through the help of supernatural power, pursuing to lead their lives there within. As a result, Egyptian ornaments; First, the deity raised their value by deifying human-beings. Second, the nobility enhanced their dignity by having goddesses wear the same skirts as theirs. Thirds, all deities maintained their class society by wearing fpassiums, bracelets, and anklets. Fourth, the resurrection was symbolized through gods and goddesses in charge of the afterlife.

고대의 정신세계는 인류의 사상의 근원이 되는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의 발달로 점차 소멸되어가는 인류의 근원적 정신세계를 고대 신화적 요소에서의 상징적 표현으로 나타나는 고대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로부터 연구하여, 신들의 장신구를 통해 반영되어진 고대인들의 정신세계의 독특한 인간관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집트에서 장신구는 장식적 역할도 분명하지만, 그 근본적인 목적은 부적 즉, 신체의 취약한 부분에 지님으로써 신비적이고 적대적 힘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면에서 시사하는 것처럼 인류는 인간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초월적인 문제를 초자연의 힘을 빌려 해결하려 하였고,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해가기를 추구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인류의 문명을 대표하고 있는 이집트 장신구의 형성 과정을 이집트 문화적 배경과 신화를 통해, 신들의 장신구에 내포되어 있는 정신적 의미와, 신들의 장신구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집트인들이 신들의 장선 구를 통해 무엇을 염원하였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집트 신들의 장신구들은 첫째로 자연을 묘사하고 있었고 둘째는 선분의 상정, 성별의 구분과 종교의식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셋째로는 사후세계를 믿었음을 보여주었고 마지막으로 부활을 상징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케네스 C. 데이비스, 이충호역, 세계의 모든 신화, 푸른숲, p.81, 2008.
  2. H.프랑크포르트 외, 이성기역, 고대 인간의 지적모험, 대원사, p.52, 1996.
  3. Kiril Aldered, 신복순역, 이집트의 문명과 예술, 대원사, p.66, 1977.
  4. Henry C, Born. 이석우역, 서양고대의 역사와 문화, 탐구당, p.92, 1999.
  5. Edward Macnalbence, 서양문명의 역사, 소나무, pp.36-37, 1994.
  6. 이준섭, 고대신화와 신비주의의 세계, 고려대학교출판부, pp.11-43, 2005.
  7. 정홍숙, 서양복식 문화사, 교문사, p.16 2001.
  8. 최현, 이집트 신화, 범우사, p.17, 1993.
  9. 강성열, 구약과의 관계에서 보는 이집트의 신화와 종교, 신학이해 14, p.128, 1996.
  10. 파라오와 미라, 국립중앙박물관, p.45, 2009
  11. 김성, "고대 이집트의 장례의식과 종교", 협성논총, 제9집, pp.325-337, 1998.
  12. http://www.ancientweb.org/Egypt/Index.sapx
  13. http://www.arthursclipart.org
  14. http://www.sithathor.free.fr/division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