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 및 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Reinforcement with Grouting Materials in a Small Scale Reservoir Dike using Surface and Borehol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용환호 (한국농어촌공사 환경지질처) ;
  • 김양빈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Song, Sung-Ho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Yong, Hwan-Ho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Kim, Yang-Bin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발행 : 2009.08.31

초록

저수지 제체 누수구간에 대한 지수를 목적으로 분말도가 서로 다른 콜로이드 시멘트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그라우트를 이용한 그라우팅을 수행하였으며, 주입 효과 검증을 위하여 그라우팅 전후에 변수위 투수시험과 지표 및 시추공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투수시험 결과 그라우팅 이후에 투수계수가 약 10배 이상 낮아지는데, 이는 그라우트 재질에 상관없이 주된 누수구간이 효과적으로 지수됨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그라우팅 이후 주입 구간 전체에서 저비저항대가 수평적으로 발달되는 결과가 나타나며,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를 이용한 모니터링 결과 그라우트 주입구간에서 겉보기 비저항이 주입 이전에 비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공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탐사 결과 제체 상부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결과와 일치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검사공을 이용한 그라우팅 효과 판정 시 지표 및 시추공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 방법을 병행하는 경우 제체의 그라우팅 효과에 대한 공간적인 검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o verify the reinforcing effect of grouting materials composed of colloid cement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on the water leakage region in a small scale dike, we performed a tubecasing method and applied surfac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ncluding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to find resistivity variation before and after grouting. Hydraulic conductivities after grouting show 10 times lower than those of before grouting. These variation indicates that the cement grout blocks the leakage pathway effectively. As the results of dipole-dipole resistivity survey along the dike, resistivity distribution after grouting did not represent noticeable spatial variation in time. Resistivity monitoring results at the dike with vertical electrical sounding (VES) showed that the region of decreasing apparent resistivity was occupied by the grout after grouting. Predicted resistivities from the inversion of ERT data well matched with results of VES at the same regions. From the ERT using check holes to inspect the effect of grouting, we could find that the ERT is quite effective to identify spatially the grout region in a dike.

키워드

참고문헌

  1. 농업기반공사, 2001, 댐 그라우팅 설계 및 시공 실무지침서
  2. 송성호, 용환호, 장의웅, 2003, 주입재별 저수지 제체 그라우팅 개선 효과 평가,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0, 69-77
  3. Houlsby, A. C., 1990, Construction and design of cement grouting: a guide to grouting in rock founda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4. Kim, J. H., 1999, TomoDC Version 1.0 software, KIGAM
  5. Song, S. H., Song, Y., and Kwon, B. D., 2005, Application of hydrogeological and geophysical methods to delineate leakage pathways in an earth fill dam, Exploration Geophysics, 36, 92-96
  6. Yi, M. J., Kim, J. H., and Chung, S. H., 2003, Enhancing the resolving power of least-square inversion with active constraint balancing, Geophysics, 68, 93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