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Japanese Fine Art in Art Nouveau Jewelry

아르누보 장신구에 표현된 자포니즘 예술 특성

  • Published : 2009.08.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t characteristics of Japonism expressed in Art Nouveau jewelry. This study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seek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ntemporary jewelry design for the future.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s in Art Nouveau jewelry, was mostly from Ukiyo-e, an art form from the Edo Dynasty in Japan. Japanese arts soon inspired the origination of Art Nouveau across Europ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scope of its infuluence is shown in jewelry which created by contemporary painters and designers. Ukiyo-e, a folk painting was created from multi-color wooden printmaking emerged many Japanese art collectors, including Samuel Bing and Arthur Lasenby Liberty. This became a source of new inspirations for Degas, Monet, Gogh and the origin of Japonism. The layout techniques that used perspectives higher than eye level and that extremely cut or expanded major objects for emphasis were typical Ukiyo-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und out by showing the evidence that influence of this Ukiyo-e's method came up with specificity as planity, naturality, decoration and express on the Art Nouveau jewelry.

Keywords

References

  1. 약칭 P.R.B. (Pre-Raphaelite Brotherhood): 1848년 영국의 젊은 작가 7명이 모여 결성한 예술혁신 운동이다. 로제티를 비롯해 밀레이스, 헌트, 스테펜스, 콜린슨, 울너 등이 러스킨의 지지를 받아,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적인 경향들에 반대하여 라파엘 이전 즉 이탈리아의 초기 르네상스 미술에서 보여지는 허식 없는 우아함과 맑은 색채의 재생을 주장하였다. 디자인에 있어서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의 이념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김선화 (1997). 19C 유럽 포스터와 동아시아 예술과의 유대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7
  3. 송수경 (2006).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영진 (1987). 현대 장신구에 있어서 아르누보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정 (2008). 금속장신구에 표현된 아르누보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9(1), pp. 221-231
  6. 임정호 (2004). 아르누보 양식의 장신구 연구: 르네 래릭의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전용일 (1994). Rene Lalique의 금속공예. 국민대학교 조형논총, 13, pp. 276-306
  8. 이지연, 이형규 (2001). 아르누보 쥬얼리의 디자인 경향에 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4(3), pp. 69-74
  9. 小林忠, 浮世繪の魅力. 이세경 옮김 (2004). 우끼요에의 美. 서울: 이다, p. 15
  10.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廣重, Utagawa Hiroshige)로도 불린다. 에도명소백경중 'Ohash Bridge, Sudden Shower near Atake, 1857', Fahr-Becker, Gabriele(2007). Japanese Prints. Taschen, p. 185
  11. 松尾芭蕉, 與謝無村, 小林一茶 외, 徘句と浮世繒, そして 江戶時代. 김향 역 (2009).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시절 (제3 개정판). 서울: 다빈치, pp. 25-26
  12. 위의 책, pp. 20-21
  13. 馬研明子. Japonisme Representations et Imaginaired des Europeens. 최유정 옮김(2004). 자포니즘. 서울: J&C, p. 9
  14. Croissant, Doris 外(1993). Japan und Europa 1543-1929. Berliner Festspiele Argon. p.428. p.469
  15. 김혜경 . 김은정(2006). 아르누보 그래픽디자인에 반영된 일본 미술의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1), p.63에서 재인용
  16. Nicosia, Fiorella (2005). Monet. 조재룡 역(2007). 모네. 서울: 마로니에 북스. p. 28
  17. Walther, Ingo F. (2005). Masterpieces of Western Art: Volume II-From the romantic age to the present day. Los Angeles: Taschen, p. 483
  18. 후카쿠 36경중 1831년(上). 1834년(下), Forrer, Matthi(2004). Hokusai. Prestel, 페이지 표기 없음
  19. 에도명소백경중 '호리키리 堀切의 꽃창포, 1857'
  20. 松尾芭蕉, 與謝無村, 小林一茶 외. 앞의 책, p. 119
  21. Duncan, Alastair <1994>. Art Nouveau. 고영란 역(2005). 아르누보. 서울: 시공사, p. 15
  22. 1888년 작 'Les Alyscamps, Falling Autumn Leaves'. Walter, Ingo F., & Metzger, Rainer (2006). Van Gogh: The complete paintings. Los Angeles: Taschen, p. 444
  23. 최정환 (2003). 19세기 유럽미술의 자포니즘(Japonism)과 그 영향. 역사와 사회. 3(30), p. 131
  24. 박서보, 오광수 감수(2003). 클로드 모네. 서울: 재원, p. 37
  25. Rapelli. Paola (2005). Monet. 최병진 역(2008). 모네, 서울: 마로니에 북스, p. 93
  26. 안혜정 (2009). 일본미술이야기 (제4 개정판). 서울:아트북스, p. 51
  27. Duncan, Alastair. 앞의 책, pp. 16-18
  28. 안혜정. 앞의 책, p. 25
  29. 유미(唯美)주의로도 불리우며, 넓은 의미에서의 미적향수, 미적형성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인생관, 세계관을 가리킨다. 예술지상주의로 미의 창조를 예술의 유일한 목표로 한 19세기 후반의 양식이다. 예술의 독자성을 종요시하여 내용보다는 예술적 형식과 기교를 중시하였다
  30. 오장환 (2004). '近代指向'의 西洋藝術에서 오리엔탈리즘의 意味에 관한 硏究. 大韓建築學會論文集, 20(12), p. 155
  31. Duncan, Alastair, 앞의 책, p. 15
  32. 馬硏明子. 앞의 책. pp. 58-59
  33. 위의 책, p. 24
  34. 에도시대 무사의 관복이나 서민의 예복을 입을 때 기모노 허리에 착용했던 정신구로 장식띠(obi)로 고정 시킨다. 끈에 네수케(netsuke), 오짐(ojim) 장식이 부착된다. 간단한 물품을 넣을 수 있는 휴대용 소형박스 장식으로 상아, 금속, 옷칠한 나무 등으로 만들었으며, 흔히 상감장식을 하였다. Newman, Harold (1999). An Illustrated Dictionary of Jewelry. London: Thames and Hudson, pp. 165-166
  35. 일본전통의 구리와 금의 합금으로 서양에도 널리 소개되어 사용된다. 금의 함량은 3-25%까지 매우 다양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금이 약 4% 정도 첨가된 것이다
  36. 구리와 은의 합금으로 은은한 적색의 표면을 얻을 수 있다
  37. Phillips, Clare (2000). Jewels and Jewellery. London: V&A Publications, p. 86
  38. Tait, Hugh (1991). Jewelry 7.000 years. New York: Abradale, p. 191
  39. Phillips, Clare (1997). Jewelry (2rd ed.). London: Thames and Hudson, p. 145
  40. Ibid., p. 162
  41. Dewiel, Lidia L. 진임선 역 (2005). 아르누보. 서울: 예경, p. 54
  42. Becker, Vivienne (1998). Art Nouveau Jewelry. London: Thames and Hudson, p. 12
  43. 전용일. 앞의 책. pp. 288-289
  44. Swarbrick, Janet (1996). The Decorative Arts Library: Jewelry, New Jersey: Chartwell Books, p. 85
  45. 정흥숙 (2003).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37, p. 339
  46. 상징주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상징파의 예술운동과 그 경향으로, 19세기 후반 인상주의의 실증적 표현에 대한 대립 및 저항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47. Phillips, Clare (1997). op, cit., pp. 160-161
  48. 플리카주르(plique-a-jour: 스테인드 글라스와 같이 투명한 효과를 주는 기법으로, 얇은 금속으로 형태를 만든 후 투명한 유색 에나멜로 빈 공간을 채워서 구워내면 뒷면에 금속바탕판이 없기 때문에 양변에 모두 에나멜이 노출되는 기법), 클루아조네(cloisonne: 금속바탕에 가는 금속선으로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만들어 각 부분을 붙인 후, 공간을 에나멜로 채워서 구워내는 기법, 샹르베(champleve: 에나멜을 채울 금속판의 부분을 잘라내거나, 새기거나, 강한 산을 이용하여 부식하는 기법). Matthews, Glenice Lesley (1984). Enamels, Enameling, Enamelists. Pennsylvania: Chilton Book Company, pp. 145-146, p. 160
  49. Duncan, Alastair. op. cit.. p. 152
  50. Dewiel, Lidia L. op. cit.. p. 54
  51. 최정환. 앞의 책, p. 132
  52. 김은정. 앞의 책, p. 226
  53. 馬硏 明子. 앞의 책, p. 47
  54. 에도명소백경 'plum orchard in Kameido, 1857', Forrer, Matthi (2007). HIROSHIGE (3rd ed.). Prestel, 페이지 표기 없음
  55. Becker, Vivienne. op. cit.. p. 39
  56. Childers, Caroline (1998). Great Jewelry of the World., New York: Rizzoli, p. 68
  57. 馬硏 明子. 앞의 책, p. 60
  58. 權善姬. 앞의 책, p. 70
  59. 도널드 레인놀즈. 전혜숙 역 (1996). 19세기의 미술. 서울: 예경, p. 113
  60. 민주식 (2003). 19세기말(fin de siecle) 미술의 역사 인식: 아르누보(Art Nouveau)의 경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보, 19, p. 172
  61. Proddow, Penny, & Fasel, Marion (1996). Diamonds: a century of spectacular jewels. New York: Harry N. Abrams, p, 29
  62. 정홍숙. 앞의 책, pp. 338-339
  63. 馬硏 明子. 앞의 책, pp. 48-49
  64. 쓰지 노부오. 이혜원 역 (1994).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서울: 시공사, pp. 21-22, p. 68
  65. Phillips, Clare (1997). op. cit.. p.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