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미숙 (2009).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8(1), pp. 247-257
- 전종옥,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pp. 117-139
- 이소은, 임숙자 (2008). 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문화연구, 16(5), pp. 795-811
- Davis, B. J., & Ward, P. (2005). Exploring the connections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retail branding: An application of facet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3(7), pp. 505-513 https://doi.org/10.1108/09590550510605578
- 신혜영, 홍병숙 (2004). 감성 캐쥬얼 의류 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2004 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85-207
- 안진근 (2001). 이벤트 프로모션을 활용한 백화점 VMD 현황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1993). 의류 매장 종류에 따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pp. 205-212
- 장은영 (1991). VMD(Visual Merchandising)로서의 의류매장 디스플레이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16(May), pp. 211-220
- 전민지 (2006).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윈도우 정보효과가 방문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경화 (1989). 브랜드 이미지를 위한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 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pp. 826-840
-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1), pp. 55-70
- 정운석 (2005). 의류매장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신뢰 및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앞의 책, pp. 205-212
- 한동철, 성희승 (1997). 쇼핑유형이 소비자의 점포 디자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2(1), pp. 35-57
- Kerfoot, S.. Davies, B.. & Ward, P. (2003).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creation of discernible retail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31(3), pp. 143-152 https://doi.org/10.1108/09590550310465521
- 박현희, 전종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pp. 224-234
- Mazursky, D.. & Jacoby, J.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62(2), pp. 145-165
-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pp.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pp. 328-339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4002
- Fiore, A. M., & Fimle, P. A. (1977). Understanding aestetics for the merchandising and design professional. NY: Fairchild Publication
- 전달영, 김용환 (1999). 경쟁할인점간 점포선택 결정 요인. 마케팅연구, 14(4), pp. 201-225
- 홍금희 (2000).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점포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60-771
- Low, G. S.. Lamb, C. W. (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9(6), pp. 350-368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6966
- Bitner, M. J. (1992). Evaluation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56(2), pp. 57-71 https://doi.org/10.2307/1252042
- Dune P. M, Lusch, R. F.. & Griffith, D. A. (2002). Customer service and retail selling & Store layout design. Retailing. 4th Edition. Harcourt college publishers, pp. 445-531
-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pp. 1-27 https://doi.org/10.1037/h0025848
- Donovan, R.J, Rosssiter, R. (1982).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2(7), pp. 47-54
- Dawson, S.. Bloch, P. & Ridgway, N. (1990).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Journal of Retailing, 66(4), pp. 408-427
- 박현희, 전종옥. 앞의 책, pp. 224-234
-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앞의 책, pp. 205-212
-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 op. cit.. pp. 328-339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4002
- Bitner, M. J. op. cit.. pp. 57-71 https://doi.org/10.2307/1252042
-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pp. 48-65 https://doi.org/10.2307/1251413
- 이주영, 이선재 (2000). 할인점의 제품차원과 서비스 차원이 의류제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0(8), pp.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