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in the Case of Koreans

한국인의 죽음 수용과 종교

  • Received : 2009.10.06
  • Accepted : 2009.11.17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using a national data set of 1,000 respondents. Death acceptance conceptually contrasts with death anxiety, but is recently preferred by death researchers due to its relatively neutral connotations.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as most previous research thereon has been unable to suggest some definitive conclusion, using the LOWESS technique, path analysis, etc..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eligious, women and the older are more death-accepting than the irreligious, men, and the younger respectively. Education forms a complex and curvy-linear relationship with death acceptance; at the level of graduate education and higher, the respondents get more death-accepting. By religion, Protestants turn out more death-accepting than Buddhists. Should this kind of research continue, the results may be applicable to determine optimal ways to approach the population with extreme attitudes towards death.

이 논문은 한국인의 죽음 수용과 종교의 관계를 전국 규모의 조사 자료(1,000명)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다. 죽음 수용은 죽음에 대한 여러 태도 중 죽음 불안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죽음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의미를 부여하므로 최근 들어 관련 연구자들이 선호한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일치된 견해를 내지 못하는 죽음 수용과 종교와의 관계를 몇 배경 변수들과의 관계와 함께 로에스 기반 기법과 경로분석 등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인이 무교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나이가 많을수록 죽음에 대해 더욱 수용적이었다. 학령은 죽음 수용과 복잡한 곡선 형태의 관계를 형성하나, 대학원 이상의 수준에서는 더욱 죽음 수용적이었다. 종교별로는 개신교가 불교보다 더욱 죽음 수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축적시키면 죽음에 대해 극단적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최적화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