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Preservative Agent-treated Fabrics for Textil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섬유문화재 보존에 활용하기 위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연구

  • Baek, Young-M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Received : 2009.04.03
  • Accepted : 2009.05.27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Natural preservative agents are generally made of antibiotic substances that are extracted from plants. They are used mainly to keep in an original good state food, natural cosmetic goods and medicines which are likely to get rot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natural preservative agents can be applied to fabrics for the preservation of textile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perimented with a certain natural preservative agent which was developed to preserve natural cosmetic goods. The study found that when treated with the foresaid natural preservative agent whose ratio to water was 1%, fabrics showed little changes in color and tensile strength, almost neutral pH, high antibiosis and anti-fungus and high resistance to Bacillus cereus that is much detrimental to silk fabrics. As a part of the study, a preliminary test on the possibility of using natural preservative agents to preserve textile cultural properties, found that when kept covered up with the 1% natural preservative agent-treated fabrics for 72 hours, excavated textile relics showed a dramatic decrease in microbial growth.

천연보존제는 주로 식물에서 추출된 항균물질로 만들어지며 부패되기 쉬운 식품의 보존제나 천연화장품, 약품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천연화장품의 보존제로 개발되어진 천연보존제를 직물에 처리하여 이것이 섬유문화재 보존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탐색하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면직물과 견직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색 및 인장강도의 변화가 극히 미약하고 중성에 가까운 pH를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견직물에 피해를 주는 Bacillus cereus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문화재에 적용시키기 위한 예비실험으로 출토직물 편을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직물로 싸서 72시간 보관한 후 출토직물편의 미생물 실험결과 미생물의 증식이 확연히 준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閨閤叢書
  2. 山林經濟
  3. 林園經濟志
  4.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강대일, 이명희. "천연약재로부터 문화재보존용 방충방균제 개발 연구". 보존과학연구, 22, p5-25, (2001).
  5. 노현숙, 이승은. "방충․ 방균제로 인한 천연염색 한지의 색변화". 박물관보존과학, 6, p39-46, (2005).
  6. 오준석. "식물에서 추출한 살충․살균제가 문화재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견직물, 면직물, 저마직물, 한지, 안료분말, 채색편-". 보존과학회지, 20, p9-22. (2007).
  7. 김기현, 황석연, 성창근, 최영신. "수집되는 고서 및 목판류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 조사". 기록관리보존, 10, p63-102, (2005).
  8. 최영신, 신종순, 윤대현, 김기현.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을 위하여 허브 정유를 이용한 소독방법 및 소독장치". 등록번호 1003309630000 (2002.03.20)
  9. P. Perumal, Michael Wheeler. "Traditional practices for the control of insects in India". V&A Conservation Journal, 23. p8-9, (1997).
  10. M.S. Rakotonirainy, B. Lavedrine. "Screening for antifung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nd related compounds to control the biocontamination in libyaries and archives storage area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141-147, (2005). https://doi.org/10.1016/j.ibiod.2004.10.002
  11. Gatenby, S., Townley, P. "Preliminary research into the use of the essential oil of Melac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in museum conservation". AICCM Bulletin, 28, p67-70, (2003). https://doi.org/10.1179/bac.2003.28.1.014
  12. 박영희. "라벤다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복식, 56(1), p97-105, (2006).
  13. 박수안; 조병묵. "황벽염색처리가 한지의 항균성 및 광변색 특성에 미치는 영향 - 황벽 추출물의 항균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19회 발표논문집, p40-46, (2004).
  14. 이영희. "정향 추출물로 처리한 천연섬유의 항균성 및 소취성".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008년도 국제학술심포지움-향과 문화- 발표초록집, p39-42, (2008).
  15. 권영숙, 백영미.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 명주 홑저고리의 보존처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p634-638, (2006).
  16. 이내옥. "문화재 다루기". 열화당미술책방 008, 91, (2000).
  17. Agnes Timar-Balazsy, Dinah Eastop. Chemical Principles of Textile Conservation, p46-47, (1998).
  18. 농생명과학연구정보센터(http://www.alric.org).
  19. 조성환, 김철환, 박우포. "항균포장지 제조용 식물성 자몽종자추출물제재의 항균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1(3), p411-416, (2004).
  20. 강성구, 장미정, 김용두, "유자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3(2), p204-210, (2006).
  21. 함인혜, 정의동, 이경진, 이제현, 부영민, 김호철, 최호영. "진피류 한약재의 Hesperidin과 정유성분 비교". 대한본초학회지, 23(4), p159-170, (2008).
  22. W.A. Duetz, H.Bouwmeester, J.B.van Beilen. "Biotransformation of limonene by bacteria, fungi, yeasts, and plants". Appl Microbiol Biotechnol, 61, p269-277, (2003). https://doi.org/10.1007/s00253-003-1221-y
  23. 미생물면역분과회, 신종합미생물학. 신일북스, (2008).
  24. H.J.D. Dorman, S.G. Deans, "Antimicrobial agents from plan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88, p308-316, (2000). https://doi.org/10.1046/j.1365-2672.2000.00969.x
  25. 이상준, 조준자, 윤수정, 권영숙, 전초현, 조현혹. "국내 박물관에서 분리된 세균에 의한 견사의 물성 변화".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9(1), p31-36, (2007).
  26. 채옥자. "출토복식유물에 대한 훈증처리의 효과와 보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27. Lee, TE, Efficacy report of DF-100, Conference of genetics & cell biology, University of Malaya, Kuala Lumpur, (1987), 박헌국, 김상범.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 한국식품영양학회, 19(4), p526-531, (2006). 재인용
  28. 박선영, 남윤자, 김동현. "고삼추출액을 이용한 염색 면포의 염색성과 피부 미생물의 억제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6(3/4), p464-472, (2002).
  29. 이중수, 배미현, 이민수, 박지선, 황석연, 김기현. "대학 박물관 수장환경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조사". 고문화, 64, p111-134, (2004).
  30. 정용재, 이규식, 한성희, 강대일, 이명희. "오향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보존과학회지, 10(1), p21-3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