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an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Korea Urban Expansion Trend Analysis

GIS와 통계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도시확장 패턴분석

  • 손정우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
  • 최철웅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09.09.24
  • Accepted : 2009.10.19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Urban expansion has caused environmental problems, traffic jam and real estate. Trend analysis of Urban expansion is needed for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existing problem-solving, urban planning and land us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database based on MOE(Minister of environment)'s landcover(1980's, 2000's), 1: 25,000 digital topographical map using of DEM and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urban and build up expand analysis of South Korea. As a result, The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of Gyeonggi-do, Incheon and Ulsan are high but Jeollanam-do is low. Area of development zone was 2.15 fold increase in comparison with before it. Slope aspect is south or east and urban expansion was increase in district such as Chungcheongnam-do, Gyeonggi-do, Jeollanam-do. Existing road of accessibility was high than development zone. Metropolitan city developre i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South Korea urban expansion was developed from metropolitan city. In natural topographical conditions, the development was progress advantageous zone to disadvantageous zone. Also, we found that population was rapidly increase with new development as the center zone in urban expansion zone.

도시확장은 난개발, 환경, 교통 및 부동산 문제 등을 발생시켰다. 도시확장 패턴분석은 도시확장으로 발생된 문제 해결과 국토관리, 도시계획과 토지이용 분석 및 예측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제작된 1980년대, 2000년대 토지피복도, 1: 25,000 지형도를 이용한 DEM, 통계청의 인구자료와 대한민국 면적 1ha 이상 도시지역을 추출 후 광역자치단체별로 도시확장 패턴을 GIS, 통계적 기법을 이용해 공간구조 및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 인천, 울산은 인구 증가율이 높고, 전남이 낮으며 개발지역 면적은 2.51배 확장 하였다. 경사향은 남향 혹은 동향으로 도시확장은 충남, 경기, 전남 등 지방권에서 주로 증가하였다. 도로 접근성은 기존 도시지역(1980년대 이전 도시 및 건조지역)이 개발지역(1980년대 이후 도시 및 건조지역)보다 높았다. 즉, 도시확장은 각종규제와 정책에 의해 대도시급(특별시, 광역시)에서 지방급(도, 특별자치도)으로, 지형적 조건은 개발에 유리한곳에서 불리한 지역으로 개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시확장은 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인구가 급속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표, 김순희, 1993,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수도권 토지이용 실태분석" 국토연구원, pp.1-69.
  2. 김재익, 황국웅, 정현욱, 여창환, 2004, "도시성장분석상 위성영상자료와 구역자료의 통합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7권 3호, pp.1-11.
  3. 김경환, 2007, "도시 인구규모 분포와 도시인구성장 패턴에 관한 분석", 지역연구, 제23권 1호, pp.27-41.
  4. 김홍태, 김상수, 안상현, 2009, "대전광역시 도시성장 패턴과 공간구조 변화측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3호, pp.51-65.
  5. 문태헌, 최창영, 2003 "셀 단위 도시성장 모델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7호, pp.125-132.
  6. 손정우, 김경탁, 이창헌, 최철웅, 2009,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2호, pp.61-69.
  7. 안철호, 1984, "Landsat data에 의한 서울시에 있어서의 도시역변화의 추출", 한국측지학회지, 제2권 1호, pp.5-16.
  8. 여옥경, 안건혁, 2006, "신시가지 성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제41권 7호, pp.37-50.
  9. 연상호, 1985, "Landsat data를 이용한 주요도시역의 경념변화의 추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10.
  10. 윤창훈, 2003, "대구시 시가지 지가의 변화 및 계층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지역학회, 제19권 1호, pp.27-46.
  11. 이명근, 이성화, 2008, "도시성장에 따른 도시형 지목의 변화관계 분석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0권 2호, pp.63-75.
  12. 이희연, 심재현, 2006, "도시성장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9권 2호, pp.15-29.
  13. 이희연, 2009,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토지수요 예측방법 구축 및 실증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2권 1호, pp.11-30.
  14. 임동일, 2008,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구조 변화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8권 10호, pp.317-327.
  15. 장훈, 2003, "Landsat 영상과 Pycnophylactic 보간 알고리즘에 의한 도시성장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1권 2호, pp.17-28.
  16. 정재준, 김형태, 2008, "개발가능지 추출을 위한 물리적측면의 도시성장 예측", 국토지리학회, 제42권 3호, pp.457-470.
  17. 최철웅, 손정우, 이창헌, 2009,"GIS를 이용한 해운대구토지가치 분석"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2호, pp.3-9.
  18.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제작지침안, 2002, 환경부, pp.16-24.
  19. 환경부,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완료보고서, 2005, 환경부, pp.24-48.
  20. 환경부,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2006, 환경부, pp.31-61.
  21. Batty, M. Xie, Y. and Sun, Z., 1999, "Modeling urban dynamics through Gis-based cellular automata", Environments and Urban systems, pp.205-233.
  22. Erman Rustia and Teitaro Kitamura, 1998, "Analysis of land use change in city suburbs : A case study on some sub districts of bekasi area of west java", Indonesia, Journal of rural planning association, vol. 17(1), pp.20-31. https://doi.org/10.2750/arp.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