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bility Appraisement on Cultural Property Material with the Replacing Fumigation Gas of Methyl Bromide

Methyl Bromide를 대체하는 훈증 가스의 문화재 재질 안정성 평가

  • Kang, Dai-Il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09.07.22
  • Accepted : 2009.08.31
  • Published : 2009.09.20

Abstract

Methyl Bromide that was used as fumigation gas turned out to be the substance of destroying the ozone layer. For that reason, at the Montreal Protocol in 1987 the use of methyl bromide was forbidden starting 2005 in the advanced country. Also according to the 2007 Bali Protocolly methyl bromide is expected to be forbidden a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ubstitution fumigation gas (Ethylene Oxide+HFC 134a, Methyl Iodide, Cyanogen and Argon) on the metal(silver, copper and iron), wood(oregon pine), pigment(yellow, red, blue, white and black), textile(hemp, ramie, jute, silk1 and silk2 / indigo, safflower and cork) and paper. After the fumigation test, ethylene oxide+HFC 134a did not have changes in the weight and color of the material itself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On exterior alteration, color change occurred partly on paper and metal. Also, in most materials color change extent was 0.5 to 1.5 on the average and showed scanty difference. The materials after the fumigation test with methyl iodide did not show weight changes after the test. However, color changes more than 1.0 was shown in most of the materials especially in dyed textile material. In blue pigment, the discoloration on the surface could be seen by naked eyes. Fumigation test with cyanogen gas did not show weight changes and discoloration is more than 1.5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weight changes of test materials with the argon gas was decreased about 3 to 6%. It can be observed that discoloration on paper was generated. Color changes can be seen on jute dyed with safflower and cork for two weeks with argon gas and the extent was 6.3 and 6.0.

현재까지 문화재 훈증제로서 사용되어왔던 브롬화메틸(Methyl Bromide, 이하 M.B)은 온실 가스로 지구 오존층 파괴의 원인물질로 판명되어,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선진국에서는 2005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또한, 2007년 발리 협약에 의해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사용 규제가 예상되므로, 본 실험에서는 Methyl Bromide를 대체할 Ethylene Oxide + HFC 134a, Methyl Iodide, Cyanogen, Argon 훈증법이 금속(은, 구리, 철), 목재(미송), 안료(황, 장단, 양청, 백분, 먹), 섬유(삼베, 모시, 황마, 도침 비단, 비도침 비단 / 쪽, 황벽, 홍화 염색), 지류(닥지 4종, 중성지 1종) 시편 재질에 미치는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훈증 실험 결과, Ethylene Oxide + HFC 134a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 색도 변화 등에 가장 영향이 없었다. 표면변화는 지류와 금속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하였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시편에서 0.5에서 1.5내외의 근소한 색차를 나타내었다. Methyl Iodide는 훈증 전, 후 중량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실험시편에서 1.0 이상의 색차를 나타내었다. 특히, 염색된 대부분의 섬유시편에서 비교적 큰 색도변화가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양청안료시편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변색이 관찰되었다. Cyanogen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변화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전반적으로 실험시편에서 1.5이상 정도의 색차를 보였다. 특히, 섬유시편의 변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rgon으로 훈증한 실험시편은 중량변화가 3~6% 내외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지류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색도변화는 2주 훈증 조건에서 홍화와 황벽으로 염색한 황마시편이 6.3, 6.0의 현저한 색차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文化財硏究所十年史". p84, (1985).
  2. 森入郞, 態谷百三, "文化財に對する燻蒸劑の藥害について - 1. 金屬に及ぼす影響". 古文化財の科學, 12, p17- 21, (1954).
  3. 森入郞, 態谷百三, "文化財に對する燻蒸劑の藥害について - 1. 顔料に及ぼす影響". 古文化財の科學, 13, p21-28, (1955).
  4. 柳慧瑛, 金庚洙, 李容喜, "燻蒸소독에 따른 書畵類의 顔料變色 및 pH변화 有無 調査". 박물관보존과학, 1, p43-51, (1999).
  5. 이길성, 박병빈, 최기영, "훈증제 ethylene oxide가 문화재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8(5), p.4-12, (2002).
  6. 채옥자, 박성실, 안춘순, "출토복식유물에 대한 훈증소독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p668-677, (2004).
  7. Bell, A., Boeye and O. Mueck, "Methyl Bromide Substitution in Agriculture". Published by Deutsche Gesellschaft fuer Technische Zusammenarbeit(GTZ) GmbH, p107, (1997).
  8. Giler, J. "Fumigation Handbook".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Grain Inspection, Packers and Stockyards Administration. Federal Grain Inspection Service. Washington, DC. Sep. (2006).
  9.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994).
  10. 神谷嘉美, 加藤寬, 佐野千繪, "燻蒸製劑による金屬表面の外觀変化 - 評価手法の檢討 -", 保存科學, 46, p105-11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