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Pyrophyllite Deposits in the Jinhae Area

진해 납석광상의 산상과 광물학적 특성

  • Kwack, Kyo-Won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System,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in-Yeon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System,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Oh, Ji-Ho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System,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n, Keun-Taek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 System,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i, Sei-Jeo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 곽규원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황진연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오지호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윤근택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지세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yrophyllite deposits located in Jinhae area have been studied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laboratory works including the X-ray diffraction (XRD), X-ray fluorescence (XRF),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EPMA)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The pyrophyllite deposits consist of mainly illite, dickite, pyrophyllite, diaspore, chlorite, pyrite and copiapite. According to the mineral assemblages, geological occurrences and alteration modes, the altered rock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A; quartz with silicifictaion, Type B; quartz + illite with illitization, Type C; quartz + dickite + illite with kaolin alteration, Type D; pyrophyllite + illite + dickite + diaspore with pyrophyllite alteraion. Rocks in Type A, which is generated by silicifictaion, have high $SiO_2$ contents more than 90 wt% and distinctive equigranular textures with microcrtstalline quartz. The pyrophyllites from the study area belong to 2M polytype. The host rocks of the pyrophyllite ore in this mine are rhyolitic rock, andecitic tuff and volcanic breccia. The alteration products seem to be controlled by the different lithology of the host rocks. The hydrothermal solution formed the deposits would be inferred to the acidic and have relatively high ionic activity of hydrogen and silica judging from alteration mineral assemblage. Pyrophyllite alteraion zone is generated by highest temperature condition of all alteration zone.

진해지역에 위치하는 납석광상에 대하여, 광산 지질조사를 통해 산출상태를 파악하고, X-선회절분석, X-선형광분석, 전자현미분석, ICP분석 등을 통하여 변질광물의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 납석광상에는 일라이트, 딕카이트, 엽납석, 다이어스포어, 녹니석, 황철석, 침철석 등의 다양한 광물들이 산출되었다. 이들 구성광물의 조합을 검토한 결과, A: 석영, B: 석영+ 일라이트, C: 석영 + 일라이트 + 딕카이트, D: 엽납석 + 일라이트 + 딕카이트 + 다이어스포어의 4개 광물조합으로 주로 구분되었다. 이들 광물조합의 산출상태로 보아 규화대, 일라이트변질대, 카올린변질대, 엽납석변질대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규화대의 대부분은 약 90% 이상의 높은 $SiO_2$ 함량을 보이고 작은 입자의 석영들로만 거의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엽납석은 2M형의 폴리타이프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광상의 모암은 유문암질암, 안산암질 응회암 및 화산 각력암 등의 화산암이며, 모암의 차이에 따라 변질대 분포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화산암이 수소이온 및 실리카의 활동도가 높은 산성열수용액에 의해 변질작용을 받아 납석광상이 형성되었으며, 그중에서 엽납석변질대가 가장 고온의 환경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모, 김문영, 김대업, 김용욱, 김수영, 이한영, 高木 哲一, 內藤一樹, 須藤定久, 이현구 (2000) 한국과 일본의 비금속광물자원에 대한 조사연구. 과학기술부, KR-00(T)-19, 158p
  2. 고정선, 김은희, 윤성효 (2004) 부산 가덕도 지역 백악기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13, 47-63
  3. 김동학, 황재하, 박기화, 송교영 (1998) 한국지질도(1:250,000) 부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2p
  4. 김영희, 문희수, 김종환, 유장한, 김인준 (1990) 전남 옥매산광상의 열수변질작용 및 광상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광산지질, 23, 287-308
  5. 김종환, 고상모 (1989) 밀량-양산지역 납석광상의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KR-89-(B)-21, 1-44
  6. 김종환, 검정택 (1963) 한국지질도(1:50,000) 마산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6p.
  7. 노진환, 고상모 (2005) 국내산 납석의 부존현황 및 광물특성. 광물과 산업, 18, 1-17
  8. 대한광업진흥공사 (2004) 피앤엠마이닝광산 시추결과 보고서
  9. 문희수, 김영희, 검종환, 유장한 (1990) 해남지역 화산암류와 납석 및 고령토 광상의 K-Ar 연대. 광산지질학회지, 24, 135-141
  10. 문희수, 이강원, 송윤구 (1993) 밀양 납석광상에서 산출되는 단괴의 광물조성. 광산지질, 26, 455-464
  11. 문희수, 송윤구 (1992) 전남 해남지역 납석, 명반석 및 도석광상의 분포, 광물조성 및 형성기구. 광산지질, 25, 41-50
  12. 박희인 (1988) 활석 및 납석광상,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연세대학교 지절학과 동문회, 서울, 367-373
  13. 상기남 (1986a) 한반도 남부지역 고령토-납석광상 생성기구. 광산지질, 19, 101-114
  14. 상기남 (1986b) 한반도 남부지역 고령토-납석광상 생성기구. 광산지질, 19, 43-52
  15. 상기남 (1992) 영남지역 고령토-납석광상의 성인연구, 광산지질, 25, 43-52
  16. 신상은, 박홍봉 (1990) 전남 서남부지역의 납석, 고능석과 명반석광상의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 23, 11-23
  17. 이강원, 문희수, 송윤구, 김인준 (1993) 밀양 납석광상의 모암 변질작용과 생성환경. 광산지질, 26, 289 -309
  18. 이재영, 최욱진, 김종근, 김상욱 (1994) 경주납석광상의 열수변질작용에 따른 원소함량의 변화,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7(1), p. 1-9
  19. 이하영, 김상욱 (1964) 한국지질도 (1:50,000) 김해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20. 장태우, 강필종, 박숙환, 황상구, 이동우 (1983) 한국지질도(1 :50,000) 부산-가덕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 자원연구소, 20p
  21. 전효택, 정영욱, 김인준 (1991) 경남 및 전남일부 납석광상의 산소-황-동위원소 조성과 광상성인. 광산지질학회, 24, 97-105
  22. 정영욱, 전효택 (1990) 전남 화순 다도 및 해남지역 납석광상의 지구 화학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27, 63-76
  23. 조현구 (1998) 납석(pyrophyl1ite)광상. 한국의 광상, 박희인교수 정년퇴임기념집, 189-205
  24. 조형성, 김종선, 이정환, 정종옥, 손문, 김인수 (2007) 진해시 남동부 화성쇄설암 내 화강암편의 특징과 층서적 의미. 한국암석학회지, 16, 116-128
  25. Bailey. S.W. (1980) Summary of recommendations of AIPEA nomenclature committee. Clay Minerals 15, 85-93 https://doi.org/10.1180/claymin.1980.015.1.07
  26. Baker. D.R. (1990) Chemical interdiffusion of dacite and rhyolite: anhydrous measurements at 1 atm and 10kbar, application of transition state theory, and diffusion in zoned magma chamber.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04, 407-423 https://doi.org/10.1007/BF01575619
  27. Baker. D.R. (1991) Interdiffusion of hydrous dacitic and rhyolitic melts and the efficacy of rhyolite contamination of dacitic enclave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06, 462-473 https://doi.org/10.1007/BF00321988
  28. Brindley, G.W. and Wardle, R. (1970) Monoclinic and triclinic forms of pyrophyllite and pyrophyllite anhydride. Am., Mineral., 55, 1259-1272
  29. Bryndzia, L.T. (1988) The origin of diaspore and pyrophyllite in the Foxtrap pyrophyllite deposit. Avalon peninsula, Newfoundlan: A reinterpretation. Econ. Geol., 83, 450-453 https://doi.org/10.2113/gsecongeo.83.2.450
  30. Evan, H.T. and Landergren, S. (1974) Vanadium: Handbook of geochemistry.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 23p
  31. Fournier, R.O. (1986) The behavoir of silica in hydrothermal solutions. In Reviews in Economic Geology., Berger, B.R. and Bethke, P.M. (Eds.), 2, 45-61
  32. Hemley, J.J. and Jones, W.R. (1964) Chemical aspects of hydrothermal alteration with emphasis on hydrogen metasomatism, Econ. Geol., 59, 538-569 https://doi.org/10.2113/gsecongeo.59.4.538
  33. Hemley, J.J., Hoster, P.B., Gude, A.J., and Mountjoy, W.T. (1969) Some stability relations of alunite, Econ. Geol., 64, 599-612 https://doi.org/10.2113/gsecongeo.64.6.599
  34. Hemley, J.J., Montoya, J.W., Marinenko, J.W., and Luce, R.W. (1980) Equilibria in the system $Al_{2}0_{3}$-$Si0_{2}$-$H_{2}0$ and some general implication of alteration/mineralization processes. Econ. Geol., 75, 210-228 https://doi.org/10.2113/gsecongeo.75.2.210
  35. Hildreth, W. (1981) Gradients in silicic magma chambers: Implications for lithospheric magmat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6, 10153-10192 https://doi.org/10.1029/JB086iB11p10153
  36. Kim, I.J. (1992) Alteration zoning, mineral assemblage and geochemistry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related to Cretaceous felsic magmatism in the Haenam area. Southwest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5, 397-416
  37. Kim, S.J., Choo, C.O., and Kim, W.S. (1994) Mineralog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5) Deogbong napseok deposit.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7, 25-39
  38. Montoya, J.W. and Hemley, J.J. (1975) Activity relations and stabilities in alkali feldspar and mica alterations. Econ. Geol., 70, 577-594 https://doi.org/10.2113/gsecongeo.70.3.577
  39. Murata, K.J. and Normnan, M.B. (1976) An index of crystallinity for quartz, Amer. Jour. Sci., 276, 1120-1130 https://doi.org/10.2475/ajs.276.9.1120
  40. Newman, A.C.D. and Brown, G. (1987)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clays. In: A.C.D. Newman, Editor, Chemistry of clays and clay minerals, Mineralogical Society Monograph No. 6, John Wiley & sons, New York, 1-128
  41. Shaw, D.M. (1977) Trace element behavior during anatexis. In Magmagenesis. H. J. B. Dick, Bulletin 96, Oregon Dept. of Geology and Mineral Industries, 189-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