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Channel and Evolutions of Fluvial Terraces in Odae River

오대천의 특성과 하안단구의 형성과정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광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perties of fluvial landforms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and investigates the evolutions of stream and fluvial terrace in the Odae river basin. The lower basin of the river that consist of sedimentary rocks resistant to weathering and erosion processes shows higher altitude, relief and slope than the upper basin that consist of granite less resistant to weathering and erosion processes. The average width of river valley at the lower reaches is one-third to the upper reaches and the average width of river channel at the lower reaches is narrower than at the upper reaches. Based on the OSL age dating, the fluvial terrace T1 formed at the temperature-rising period during the late MIS 2 and T2 formed at the middle MIS 3, interstadial perio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Based on the these results, the average incision rates of Odae river are calculated as 0.205m/ka and 0.269m/ka at the upper granite area and lower sedimentary rocks area, respectively.

본 연구는 오대천 상 하류의 하천 지형 특성을 분석하고, 오대천의 하천 및 하안단구 지형 형성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대천은 상류 화강암 지역보다 하류 퇴적암 지역에서 풍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상류보다 하류 유역분지에서 해발고도가 높고, 기복량은 크며, 경사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상류보다 하류에서 평균 하곡 폭이 1/3 정도로 좁고, 평균 하도 폭도 더 좁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OSL 연대 측정 결과 하안단구 1면의 형성시기는 최종 빙기 최성기인 MIS 2기말의 기온 상승기이며, 하안단구 2면은 최종 빙기 내의 아간빙기에 해당되는 MIS 3기 중반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안단구 2면 형성 이후 현재까지 오대천의 평균 하각률은 상류 화강암 지역에서 0.205m/ka 하류 퇴적암 지역에서 0.269m/ka로 계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1996, 오대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건설교통부
  2.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5, 1:50,000 지질 도폭 설명서-오대산
  3. 국립지질조사소, 1962, 1:50,000 지질도 정선 도엽
  4. 국립지질조사소, 1962, 1:50,000 지질도 하진부 도엽
  5. 권혁재, 2006, 지형학, 법문사, 서울
  6. 윤순옥·황상일·이광률, 2007, '강원도 영동·영서 하천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 내린천, 연곡천, 골지천, 오십천을 사례로,'대한지리학회지, 42(3), 388-404
  7. 이광률, 2007,' 상·하류의 기반암 차이에 따른 하천의 형태와 암석의 저항력 분석,'대한지리학회지, 42(1), 27-40
  8. 이광률·조영동·김대식, 2008,' 강원도 평창군 진부 단층의 지형 및 활동성,'대한지리학회지, 43(6), 775-790
  9. 장호·최성길·김주용·신현조, 2007, '한반도 남동부 하서천 유역의 하성단구 분포와 형성연대,'한국지형학회지, 14(1), 1-15
  10. Bradley, R. S., 1999, Paleoclimatology, Harcourt/Academic Press
  11. Charlton, R., 2008, Fundamentals of Fluvial Geomorphology, Routledge
  12. Leopold, L. B., Wolman, M. G., and Miller, J. P., 1992, Fluvial Processes in Geomorphology, Dover Publication
  13. Plummer, C. C., McGeary, D., and Carlson, D. H., 2003, Physical Geology, McGraw-Hill, Boston
  14. Ritter, D. F., Kochel, R. C., and Miller, J. R., 2006, Process Geomorphology, Wm. C. Brown
  15. Schumm, S. A., 1999, Cause and controls of channel incision, in Darby, S. E. and Simon, A.(eds.), Incised River Channels: Processes, For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hn Willey & Sons
  16. Strahler, A. and Strahler, A., 2005, Physical Geography, John Willey & Sons
  17. Summerfield, M. A., 1991, Global Geomorphology, Prentice Hall, London
  18. Wohl, E. E., 1999, 'Incised bedrock channels, in Darby, S. E. and Simon, A.(eds.), Incised RiverChannels: Processes, For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hn Wil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