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ssay on Establishing the Theory of Reverence-based Ethics Education : Focussed on 'Gyeong(敬)' in the Early Confucianism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시론 -원시유교의 '경(敬)'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09.08.20
  • Accepted : 2009.09.2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theory of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Gyeong(敬)' in Early Confucianism. There was a negative viewpoint on Confucianism directly after the modernization of Korea. However, a positive trend for Confucianism has emerged in almost all sorts of studies even though the results of the studies in Moral education are not always successful. West moral education theories and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theories should be integrated dialectically so that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may be updated. Recently a reappraisal of traditional values has been undertaken as a replacement of liberal democracy values. Faced with the modern civilization's crisis and a decline in morals in Korea, reverence needs to be dealt with in ethics education. This stud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nature-transcendental relation whose concrete concept is 'Gyeong(敬)' in Confucianism. And the study attempts t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verence-centered ethics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consists of the substance of 'Gyeong(敬)' in Early Confucianism, and practical principles and methods of reverence-based ethics education. Some tasks of moral education are also suggested for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of reverence-centered ethics education.

이 글은 유교 도덕을 새롭게 조명하고, 도덕교육에 적용할 실천원리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제학문들은 최근 유교에 대한 부정적 관점을 벗어나, 한국문화의 한 토대인 유교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긍정적 관점에서 진지하게 접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유교를 비롯한 전통도덕교육론 정립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서구도덕교육론의 영향과 전통도덕교육 전공자들의 노력 미흡, 서구가치의 보편화 등에 그 원인이 있다. 21세기 문명의 위기와 윤리적 상황 등으로 새로운 영역들이 학문의 대상으로 편입되고 있는데, 한국의 도덕교육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영역을 포함시켰다. 이는 외경성[외경윤리]과 관련된다. 본고는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유교의 외경성의 본질에서 외경윤리교육의 기반을 찾고자 시도되었다. 원시유교(『서경』·공자·맹자)의 '경(敬)' 개념에서 외경성의 본질을 찾고, 그것을 바탕으로 외경윤리교육의 실천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결론에서는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다루었다.

Keywords